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83

6장 - 도구적 지향성과 통합적 지향성 ▣ 사회-심리적 관점 ◈ 도구적 지향성과 통합적 지향성 - Gardner와 Lambert(1972)의 연구는 20여 년 이상 L2 동기 연구 - 태도 및 동기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캐나다, 미국, 필리핀의 L2 학습자들을 연구 - 동기는 여러 종류의 태도를 통해 연구 - 두 가지의 큰 태도 유형은 각각 도구적(instrumental), 통합적(integrative) 지향성으로 분류 - 도구적 지향성은 경력을 더 넓히기, 기술 서적 읽기, 또는 번역하기와 같은 실용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수단으로써 언어를 습득하려는 것을 지칭 - 통합적 지향성은 자기 자신을 L2를 사용하는 집단의 문화권으로 통합시키고 그 집단 속에서 사람들과 의사소통에 참여하려 하는 학습자들을 가리킴 - Gardner와 MacIntyre(1.. 2022. 10. 2.
6장 -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 Edward Deci(1975, p. 23)는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활동 그 자체를 제외하고는 명확한 보상이 없는 것에 대해”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라고 정의 - “특정 활동을 외부로부터 어떤 보상이 따르기 때문에 하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함 - 내재적으로 동기 부여된 행동들은 내적으로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결과 - 능력있다는 느낌과나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self-determination)는 느낌 때문에 발생 - Skinner(1957) 의 방출 반응(emitted response)과 같이 개인의 자유의지에 따라 마음에서 우러나서 하는 것 -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는 자기자신 이외의 외부로부터 주어질지 모.. 2022. 10. 1.
6장 - 동기 ▣ 동기 - 무수히 많은 연구와 실험에서 동기는 일반적으로 인간 학습의 핵심요소라는 것이 입증(Maslow, 1970) ◈ 동기의 정의 - 지난 수십 년간 연구가 수행되면서 동기(motivation)에 대해 다양한 기능적 정의가 제시 - 시대별 세 학파에 따라 세 가지의 상이한 관점을 도출 1. 행동주의적(behavioral) 관점 - 매우 명료하게 동기는 보상에 대한 기대 - 긍정적 강화를 얻기 위해서, 그리고 이전의 보상 경험을 겪으며 우리는 보다 더 큰 강화를 얻기 위해 행동 2. 인지주의적(cognitive) 관점 - 개인의 결정, “어떤 경험이나 목표를 이루려고 하는지 혹은 회피하려고 하는지에 대해서 사람들이 내리는 결정, 그리고 그것과 관련해 사람들이 쏟는 노력의 정도”(Keller, 1983.. 2022. 9. 30.
6장 - 성격 유형 ▣ 성격 유형 ▶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Myers, 1962) - Myers-Briggs 검사라고 불리며 널리 대중화된 Myers-Briggs 유형 지표 검사(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 Carl Jung(1923)의 심리학 유형 중 일부를 차용 - MyersBriggs 검사는 각 개인에게 다양하게 발현되는 우세한 성격 유형을 측정하고자 함 - 오늘날까지 MBTI 세션이 진행되고 있음 -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의 다양한 고유성을 발견하고, 성격에 적합한 진로를 그들의 팀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 - 이분법적으로 작용하는 네 가지 스타일이 MBTI에서 다루어짐 - 그 하위 구성 요인은 다음과 같음 (1) 내향성 vs 외향성 (.. 2022. 9. 29.
6장 - 외향성과 내향성 ▣ 외향성과 내향성에 관한 기존 생각들 - 외향성이란 한 인간이 자신으로부터 자아 향상, 자아 존중, 총체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과는 반대 개념 - 다른 사람들로부터 그런 것을 확인받고자 하는 개인의 욕망 정도 - 외향인들은 자기 자신이 “기분 좋은” 감정을 느끼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필요 -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얻음 - 외향인들이라고 해서 반드시 큰소리로 말하거나 수다를 떠는 것은 아님 -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뿌리 깊은 갈망은 그들의 약점 중 하나 - 내향성은 어떤 개인이 자기 자신으로부터 총체성과 성취감을 이끌어내는 정도 - 성격 내면의 강인함을 가지고 있고, 생각과 개념을 사려 깊게 숙고 - “자기 내면의 세계에 집중함으로써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Wakamoto.. 2022. 9. 28.
6장 - 감정이입 ▣ 감정이입 - 의사전달(transaction) 활동은 자기 자신을 초월하여 다른 사람들을 지향하는 과정 - 언어는 이러한 과정을 성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된 수단 - 모방, 본보기로 삼아 따라 하기(modeling), 동일시하기, 감정이입, 외향성, 적극성, 의사소통 스타일 등의 변인 ▶ 감정이입(empathy)은? -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보는 과정을 의미 - 사회생활에서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중요 요소 - 언어는 감정 이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지만, 비언어적 의사소통도 이런 감정이입 과정을 촉진 - 다른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자기 자신의 성품을 다른 사람의 성품에 투사하는 것 ▶ 감정이입을 발전시키고 연습하기.. 2022. 9. 27.
6장 - 불안 ▣ 불안 - 불안이란 “자율신경계의 자극과 관련된 긴장, 근심, 초조, 걱정에 대한 주관적 느낌”, Spielberger(1983) - 불안은 우려, 좌절, 자기 회의감, 근심, 걱정의 감정과 관련 있음(Scovel, 1978) ▶ 불안이 자아 존중처럼 여러 단계에서 경험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Oxford, 1999; Horwitz, 2001, 2010) - 심층적이고 총체적 수준인 기질적 불안(trait anxiety): 불안감을 느끼는 상당히 지속적인 성향 - 일시적이고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상황적 불안(state anxiety): 어떤 특정한 사건이나 행동과 연관 - 기질적 불안: 광범위하고 다소 모호하게 정의된 특성 때문에 L2 성취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지 않음 - 언어 불안(language .. 2022. 9. 26.
6장 - 억제 ▣ 억제 - 모든 인간은 그들 자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자아(ego)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제를 구축 - 자아 개념 없이 태어난 어린아이는 점차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자신을 식별 - 후에 자기를 인식하고 반응하고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는 단계로 접어듦 -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감정적, 인지적인 변화들이 자아 존중을 정립한 기초가 되는 가치나 신념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연약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방어적인 억제(inhibition)를 쌓게 됨 - 이러한 방어 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은 성년기까지 계속됨 - 높은 자아존중이나 강한 자아를 가진 사람은 그들 존재에 대한 위협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방어 체제의 수준이 낮음 - 약한 자아 존중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상황이나 과제에서 자기 .. 2022. 9. 25.
6장 - 의사소통에의 의지 ▣ 의사소통에의 의지 - 귀인과 자기 효능감과 관련하여 최근 연구에서 크게 각광받는 요인 중 하나는 - 학습자가 L2를 배우려고 할 때 의사소통에 의지(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를 얼마나 보이는가 - Peter MacIntyre는 의사소통에의 의지에 대해 “선택권이 주어졌을 때, 의사소통을 하려 하거나 또는 피하고자 하는 기질을 나타내는 마음에 깔린 연속체(continuum)”로 정의(MacIntyre et al., 2002, p. 538) - 즉, “선택권이 주어졌을 때 의사소통을 시작하고자 하는 의도”(MacIntyre et al., 2001, p. 369) - 의사소통을 꺼려하는 것과 보통 우리가 “수줍음”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연구와 주장에서 출발 - 연구자들은 .. 2022. 9. 24.
6장 - 귀인 이론과 자기 효능감 ▣ 귀인 이론과 자기 효능감 - 언어 학습에서 자아 존중 역할에 대한 쟁점과 질문은 귀인(attribution)과 자기 효능감이라는 핵심 개념에 있음 ▶ 심리학자 Bernard Weiner(1986, 1992, 2000)의 주요 연구에 근거한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 - 사람들이 자신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어떻게 설명하는가에 초점 - Weiner와 다른 연구자들(Bandura, 1993;Williams & Burden, 1997; Slavin, 2003; Dörnyei & Ushioda, 2011) - 개인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 성공 및 실패를 능력, 노력, 과업으로부터 체감된 어려움, 운이라는 네 가지 설명을 통해 귀인 이론을 기술 - 네 가지 요인들 중 능력과 노력은 .. 2022. 9.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