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83 Listening Listening ■ "It is unlikely that we ever achieve an exact match between intention and interpretation, and we probably would not know it if we did. We arrive at the degree of convergence necessary for interaction and no more. Comprehension is never complete: it is always only approximate, and relative to purpose." (Widdowson, 1990:108) ■ When people listen, they are listening to a stretch of disc.. 2022. 9. 2. 5장- 개인적 차이(좌뇌 우세와 우뇌 우세) 개인적 차이 ※ 좌뇌 우세와 우뇌 우세 - 좌뇌 우세와 우뇌 우세(left-brain and right-brain dominance)- 어린이의 뇌가 성숙해 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좌뇌 혹은 우뇌 쪽으로 편중화(lateralized)- 좌뇌는 논리적, 분석적 사고 그리고 정보의 수학적, 선형적 처리를 관장- 우뇌는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지각하고 기억- 이는 총체적, 통합적, 감성적 정보를 처리하는 데 좀 더 효율적이다(Urgesi & Fabbro, 2009) ▼ 좌뇌와 우뇌의 다양한 특징(Edward, 1979; Torrance, 1980; Joseph, 2012)좌뇌 우세우뇌 우세지능에 크게 의존직감을 활용이름을 기억함얼굴을 기억함언어적 지시나 설명에 반응함시범을 보이거나 삽화나 기.. 2022. 9. 1. 5장- 개인적 차이(장 독립성과 장 민감성) 개인적 차이 ◈ L2언어 교실 상황에서 학습 스타일의 중요성을 설명해주는 5가지 스타일※ 장 독립성과 장 민감성 - “두 그림에서 여섯 가지 다른 점을 찾으시오.” 같이 매우 작은 차이를 찾아내는 속도와 능력은 장 독립성(icldindependence)- 이는 주의를 흐트러뜨리는 “장(held)”에서 특정하거나 관련 있는 개체나 요소들을 지각하는 것을 의미- 심리학에서 이런 장은 관련 있는 특정 하위 집합체를 구분해내야 하는 사고, 아이디어, 감정의 집합체에 대한 지각적이거나 좀 더 추상적인 것일 수 있음- 반대로 장 의존성(field dependence)은 장내에 포함된 부분들이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게 하기 위해 전체 장을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 인지하며, 그 전체 장에 “의존하는” 성향- 장 의존성은 .. 2022. 8. 31. 5장- 개인적 차이(학습 스타일) 개인적 차이 ▶ 역사적 배경 - 1970년대 L2 습득에 대한 지식이 증가 - 교사들과 연구자들은 누구나 성공하는 궁극적인 언어 교수법은 없다는 것을 깨달음 - 심지어 어떤 학습자들은 교수법과 무관하게 L2를 배워도 성공 - 중요한 것은 우리는 언어 학습에 있어 개인 변이(variation) ▶ Rubin(1975)과 Stern(1975) 우수한 언어 학습자들의 특징 1. 자기 자신의 학습에 책임감을 갖고, 언어를 활용할 기회를 찾음 2. 언어를 창조적으로 활용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지적인 추론을 함 3. 언어 단위들을 학습하며, “그들의 능력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대화 책략을 익힘 4. 다양한 기억 책략 및 표현(production) 요령과 이해 기법을 사용 5. 그들은 스스로를 모니터링하며.. 2022. 8. 30. Analyzing Classroom Interaction ◈ Analyzing Classroom Interaction ▣ CLASSROOM DISCOURSE ■ Classroom discourse is the distinctive typ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during lessons. It is privileged in the discourse analysis literature because it was one of the first genres to be exhaustively researched by linguists. ■ Sinclair and Coulthard (1975) found a consistently recurring pattern of teach.. 2022. 8. 29. Doing discourse analysis ▣ Developing a discourse analysis project ■ Many issues need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a discourse analysis project. The first of these is the actual research question. The key to any good research project is a well-focused research question. It can, however, take longer than expected to find this question. ■ Cameron (2001) has suggested that a critical characteristic of a good research pro.. 2022. 8. 28. 4장 - 교실 내에서의 학습 이론들: ALM과 CLL ◈ 교실 내에서의 학습 이론들: ALM과 CLL - 학습에 대한 특정한 관점과 두드러진 관계를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언어 교수 방법들이 언어 교수의 지난 세기에 등장 - 행동주의 원칙들에 의해 영감을 받은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 Carl Rogers의 이론을 적용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시도인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 서로 극명한 대조를 이룸 ▶ 청화식 교수법 -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 미국인들 사이에는 동맹국들의 언어와 적국들의 언어에 모두 구술적으로 능통해져야 하는 필요성이 고조 - 듣기/말하기 기술에 초점을 맞춘 집중 어학 코스의 필요성 - 미군은 군대 특수 언어 훈련 프로그램(Army Specialized Train.. 2022. 8. 27. 4장 - 지능과 언어학습 인간의 학습 ◈ 지능과 언어 학습 - 다양한 정의와 이론을 가진 개념인 지능은 전통적으로 언어적인&논리수학적인 능력으로 정의되고 측정 - IQ(Intelligence Quotient: 지능지수)라는 개념은 스탠퍼드-비넷 지능 척도(Stanford-Binet Intelligence Scales)의 창시자로 유명한 Alfred Binet의 20세기 초반 연구에서 유래한 이러한 두 영역에 대한 몇 세대에 걸친 검사에 기반을 두고 있음 - 교육 기관과 인생 전반에서의 성공은 높은 IQ 점수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보여줌(Slavin, 2011). ▶ IQ는 성공적인 제2언어 습득과도 동등하게 상관성을 가지는가? 똑똑한 사람은 높은 지능 때문에 제2언어를 성공적으로 배울 수 있을 것인가? - 지난 수.. 2022. 8. 26. 4장 - 언어 적성 인간의 학습 ◈ 언어 적성 ▶ 언어 적성(language aptitude)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 1. 우리들이 외국어 적성이라고 부를 만한 능력이나 “재능”이 존재하는가? 2. 만약에 그렇다면, 그것은 무엇이며, 그것은 생득적(타고난 것)인가 혹은 환경적으로 길러지는가? 3. 그것은 구별되는 능력인가 혹은 일반적인 인지 능력들 중 한 측면인가? 4. 적성은 나이에 따라, 그리고 학습이 내재적인지 명시적 인지(뚜렷하게 나타남)에 따라 다른가? 5. 적성이 신뢰할 수 있도록 측정될 수 있는가? 6. 만약 그렇다면 그러한 평가들은 L2 학습에 있어서 성공을 예측해 주는가? ▶ 어떤 사람들을 외국어들을 배우는 “재주가 있는가? -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다른 사람들보다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언어를 학습할 수.. 2022. 8. 25. 4장 - 인간의 학습에 있어 근원적 개념들(귀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 인간의 학습 ※ 귀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 - 귀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는 일반화 과정의 두 가지 극과 극의 측면 - 귀납적 사고(inductive reasoning)의 경우 개인은 많은 수의 구체적인 예들을 저장 - 구체적인 예들을 지배하거나 포섭하는 일반적인 법칙이나 규칙, 결론을 이끌어 냄 - 연역적 사고(deductive reasoning)는 일반화로부터 구체적인 예들로의 움직임 - 일반적인 원칙이 개인으로 하여금 구체적인 사실들을 추론하도록 함 - L1 습득이나 자연스럽고 정식으로 배우지 않은 L2 습득은 대체로 귀납적인 과정을 포함 - 학습자들을 그들 주변의 모든 데이터로부터 특정한 규칙이나 의미를 추론 - 그러한 규칙의 대부분은 그것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의식적이고" 명시적인 능력 없이 .. 2022. 8. 24.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5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