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PLLT

8장 - 언어기능

by 피글릿 2022. 10. 26.
728x90
반응형

언어 기능

▶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Bachman의 모델

 

- 언어의 여러 기능을 조작하는 능력인 언표내적(illocutionary) 능력 포함

- 담화적, 사회언어적 능력 안에 포함시킨 구성요소, Canal&Swain(1980)

- 기능(function): 언어를 사용해 달성하려는 목적을 의미

- 예: 서술하기, 요구하기, 응답하기, 인사하기, 작별 인사하기 등

- 이러한 기능은 형태소, 어휘, 문법 규칙, 담화 규칙 같은 능력과 언어의 형태(form) 없이 도달 불가

- 형태언어를 외적으로 구현한 것

- 기능은 언어 형태를 구체적으로 실현한 것

- 언어 기능은 때로는 언어 형태와 직접적인 관계

- “이것은 얼마죠?”라 의사소통 능력 형태는 대개 질문의 기능 수행

- "그가 차를 샀다”라는 형태는 서술문 기능 수행

- 하지만 언어 형태가 수행하는 기능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님

비가 오는 날 출근 시간에 늦어 화가 난 어른이 높은 음조로 “우산을 찾을 수 없어!"라고 말을 한다면 온 집안 식구들에게 우산 찾는 일을 도와달라고 하는 강한 요구를 뜻함
한 어린아이가 "나는 아이스크림을 원해요"라고 말한다면 이는 단순한 사실이나 관찰 결과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친밀한 언어 사용역을 이용하여 아이스크림을 달라고 요청하는 것
웨이터가 커피를 더 마시겠냐고 물어볼 때, "난 괜찮아요"라고 말한다. 이 말은 "안 마셔요"라는 응답의 기능
혼잡한 시내의 교회 주차장에 있는 “우리 교회는 여기에 차를 주차한 당신을 용서합니다. 하지만 차는 견인될 것입니다”라는 표지판은 형태 측면에서는 애매하지만, 기능은 매우 명확, 이 표지판은 불법 주차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재치있게 금지하는 기능 

 

 

 


▶ 화행

- 의사소통은 일련의 의사소통 행위

- 화행(speech act)이거나, 혹은 대화상호작용에서 최소 분석 단위, John Austin(962)

- Hymes(1974)는 다음을 포함하는 다수 요소들의 측면에서 화행을 분류:

보내는 사람 화자, 저자 
메시지 채널 말, 글, 비언어적 몸짓
언어 형태 선택된 단어들과 문장들의 연속 배열, 또는 위계구조
주제 메시지가 전하고자 하는 것 
받는 사람 청자, 독자
맥락 장소, 시간, 상황 

 

- Austin(1962)은 화행의 세 가지 다른 의미, 다른 말로 "힘"을 강조

- 각각은 L2 학습자들이 구별하기 어렵다고 여길 수 있는 CC의 요소를 구성:

1. 언표적(locutionary) 의미 단어와 구조로 전달되는 발화(또는 작성된 텍스트)의 기본적인 문자 그대로의 의미, 혹은 명제적 의미 
2. 언표내적(illocutionary) 힘 발화나 텍스트가 청자나 독자에게 끼치는 의도된 효과. 이것은 보내는 사람이 메시지가 되도록 가정한 것이지만, 듣는 사람이 수용하는 메시지와 다를 수 있다. 
3. 발화의 언향적(perlocutionary) 효과 발화가 청자에게 끼치는 실제 효과, 이것은 수용된 메시지이며, 전달된 메시지의 결과들을 포함한다. 

 




▶ Halliday의 일곱 가지 언어 기능

- 언어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적 접근은 영국 언어학자 J. R. Firth의 전통에 근원

- 언어가 "행동하고, 타인들이 행동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상호적이며 대인적이라고 봄

- 이후 "기능”이라는 용어는 다양하게 해석

- Michael Halliday(1973)는 의사소통의 목적적 특성을 의미하기 위해 기능이라는 용어 사용

- 언어의 일곱 가지 기능 설명:

1. 도구적 기능 환경을 조작하고, 특정 언향적 힘을 가진 의사소통 행위들(이러한 행위들은 특정조건을 유발한다)을 비롯하여 특정 이벤트들이 일어나도록 야기한다. 예: “본 법원은 유죄를 판결합니다.” “제자리에, 준비, 출발!” “난로에 손대지 마." 
2. 규정적 기능 이벤트들을 통제하고, 한계와 변수들을 설정하고, 승인·불허를 통해 규정들을 유지하거나 법과 규칙들을 정한다. 예: “모범적으로 행동할 경우, 귀하에게는 10개월 후 가석방 자격이 주어집니다.” “브로콜리를 먹지 않으면 디저트로 아이스크림을 주지 않을 거야." 
3. 표상적 기능 진술을 하고,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거나, 실재를 “나타낸다.”예: “햇볕이 뜨겁다.” “어젯밤 대통령이 연설을 했다.” “세상은 평평하다.”(마지막은 명백히 잘못된 진술이다!) 
4. 상호작용적 기능 사회적 유지, 일상적 친교 언어를 보장하고, 의사소통 채널들을 지속적으로 열어둔다. 예: “오, 알겠어요.” “그거 흥미롭네요.” “어이, 요즘 잘 지내?” “오늘 날씨 좋네요." 
5. 개인적 기능 감정, 정서, 성격, 반응들을 표현한다. 예: “사랑해.' "그 말에 화가 난다.” “네 고통 알 것 같아." 
6. 발견적 기능 지식을 습득하고, 배우고, 정보를 추구하며(제공하며), 정보를 이끌어내기 위해 설계된 질문들을 형성한다. 예: “물은 뜨거워질 때 왜 보글보글 거품이 생길까요?" "우주에는 얼마나 많은 행성이 있나요?” 
7. 상상적 기능 상상적 이미지, 이야기, 구상 또는 아이디어를 만들어낸다. 예: 동화, 농담, 소설, 시, 잰말놀이", 말장난. 또한 현실 세계를 초월하고, 언어의 미를 탐구하고, 꿈을 창출하는 것. 


- Halliday의 일곱 가지 언어 기능은 상호 배타적이지도, 완전하지도 않음

- 단일 문장이나 대화는 많은 다양한 기능들을 동시에 포함

- 다양한 각각의 기능들 또한 언어를 통해 제공될 수 있음

- SLA에서 일반적인 교육과정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다루며, Halliday보다 더 구체적:

사과하기와 감사하기
도움 요청하기와 제공하기
정중하게 불만 제기하기 
확인하기와 정정하기 
소원을 표현하기: 제안하기
조언하기 
명령하기 
담소하기


- L2 교재들은 수십 개의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한 언어를 제공

- 언어로 다양한 목표들을 달성하는 데 있어 어휘, 문법, 수사 및 담화의 제약들과 가능성에 대해 이해

- SLA에서 성취를 구성하는 언어의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언어적 형태들을 사용하는 법에 대한 이해

- 학습자는 정확한 어순, 구문론, 어휘 항목들을 습득할 수 있지만,

- 단어, 구조, 억양, 비언어적 신호들의 신중한 선택,

- 특정 담화의 맥락에 대한 기민한 인식을 통해 상대방이 바라고 의도한 기능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음

 

 

 

 


▶ 언어 교수에 대한 기능적 접근

- 교수요목 syllabus은 영국, curiculum은 미국 용어

- 유럽 의회의 연구에서 시작, (Van Ek & Alexander, 1975)

- 이후 개념 중심 교수요목에 대한 수많은 해석이 이어짐, (Wilkins, 1976)

-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은 L2 커리큘럼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들에 관심을 기울임

- 역사적으로 앞서는 구조 중심 교수요목에서 1차 요소였던 문법은 2차 초점으로 밀려남

- "개념"은 존재, 공간, 시간, 양과 질 같은 추상적 개념

- 여행, 건강, 교육, 쇼핑, 여가시간은 “맥락" 혹은 "상황"이라고 부르는 것을 지칭

-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의 “기능적" 부분은 우리가 위에서 언어 기능들로 정의한 것과 일치

- 커리큘럼들은 식별, 보고, 부인, 초대 거절, 허가 요청, 사과 등과 같은 기능들을 중심 구성

-  Van Ek와 Alexander(1975)의 철저한 언어 기능 목록은 현재 단순히 기능 중심 교수요목으로 불리는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의 기본적 참고자료가 되었으며, 변경된 형태로 남아 있음 
- 오늘날 대표적인 L2 교재들은 그 안에서 다루어지는 의사소통 기능들을 관례적으로 열거

- “잘못된" 입문자(“false" beginner)를 위한 영어 교재인 Top Notch 1에서 다루는 기능들: 

1.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소개하기 

2. 개인 정보 제공하기 

3. 사람들을 식별하고 설명하기
4. 초대 수락하기와 거절하기
5. 메뉴에서 주문하기
6. 길 안내하기
7. 여행 서비스 예약하기

- 기능 중심 교수요목의 초기 시절, 이러한 교수요목의 효과에 대한 논쟁이 존재

- 일부 언어 교육과정들이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으로 차려지는 구조적 양고기 요리”인 것으로 드러날 수 있다고 풍자적으로 비평, Russell Campbell(1978, p. 18)

- Margie Berns(1984b)는 기능 중심 기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교재들이 “매우 부적합하며, 상호작용으로서 언어를 제시함에 있어 심지어 오해를 유발하기조차 한다”라고 경고

- Henry Widdowson(1978a)의 초기 비판을 반복

- Berns는 계속해서 어떻게 맥락이 형태와 기능에 의미를 부여하는 실질적 핵심인지 보여줌

- 단지 기능이 “다루어진다”는 것만으로는 학습자들이 실제 현실에서 정통하고, 즉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기능을 내재화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주장

- 의사소통은 질적이고 무한한 데 반하여 교수요목은 양적이고 유한 

728x90
반응형

'영어 > PLLT'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장 - 화용론  (0) 2022.10.28
8장 - 담화분석  (1) 2022.10.27
8장 - 의사소통 능력  (0) 2022.10.25
7장 - 간문화  (0) 2022.10.19
7장 - 국제적인 세계 공통어로서의 영어  (0) 2022.10.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