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어366 내용 중심 교수(contentbased instruction: CBI) 내용 중심 교수(contentbased instruction: CBI, Brinton&Snow&Wesche 1989) - 내용 학습과 언어 교육목표를 통합 - 언어와 내용 학습을 동시에 공부 - 내용 학습자료가 언어 형태와 언어 제시 순서를 결정 - 언어 기능을 실질적인 내용과는 분리해서 가르치는 방법들과 대조됨 - CBT를 통해 언어는 정보가 담긴 내용을 전달하는 도구가 됨 - 언어는 내용의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써의 역할 - CBT는 학생들이 내재적 동기 향상의 잠재력을 가짐 - 학생들이 자신의 생활에 중요한 내용 지식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 - 성적과 시험 같은 외재적 요인을 넘어 L2로 뭔가를 한다는 자신의 능력과 자율성을 지향 CBI가 만든 도전 - 언어 교사를 훈련시켜서 다양한 학문, 전문직 .. 2022. 5. 17. 총체적 언어 교육(wholelanguage education) 총체적 언어 교육(wholelanguage education) ① - 원래 읽기 연구에서 유래 - 언어를 작게 조각내는 것과 반대로 언어의 총체성을 보는 견해 - 구두언어(듣기와 말하기)와 문자언어(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과 상호 연계성 - 음성 기호와 마찬가지로 발달 단계를 따르는 문자 기호의 중요성 ② - 협동 학습 - 참여 학습 - 학생 중심 학습 학습자 공동체 - 언어의 사회적 성격 - 진정성 있고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 - 의미 중심 언어 - 네 기능의 종합 ③ - Edelsky(1993) - 총체적 언어는 요리법이 아니며 수업에 짜 넣을 활동이 아니라고 언급 - 교육적인 방법으로 생활을 하는 것 - 일상생활에서 배우는 것과 학교에서 배우는 것을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 ④ - 언어는.. 2022. 5. 16. 상호작용적 학습 상호작용적 학습 - 의사소통 능력 이론의 핵심은 의사소통이 상호작용적(interactive)이라는 것 - 화자의 표현과 청자의 이해가 중요한 요인 - 의미는 대화자들이 의사소통을 시도할 때 주고받는 협상의 결과 - 언어의 의사소통적 목적은 우리가 교실에서 진정한 상호작용의 기회를 만들도록 함 - 상호작용적 강좌나 교수기법은 그런 협상을 하게 만듦 상호작용적 수업 - 상당한 분량의 짝 활동과 모둠 활동 - 실생활의 맥락에서 진정성 있는 언어로 된 입력받기 -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 표현 - 학생들이 바깥세상에서 실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실 과업을 수행 - 주고받기와 자발적인 실제 의사소통을 통한 구두로 하는 의사소통 연습 - 실제 독자를 위하여 글쓰기 상호작용적 학습의 이론적 바탕 Mich.. 2022. 5. 15. 협동학습 협동 학습 - 경쟁적(competitive)이지 않고 협동적(cooperative)인 교육과정과 교실 - 학습자 중심의 특성들을 포함 - 짝 활동이나 모둠 활동을 하면서 정보를 나눔 - 그룹 활동을 하며 서로 도움 - 같은 팀(team) - 팀의 구성원들은 성공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함께 활동 개별학습과 대조되는 협동학습의 장점(Oxford, 1997) - 내적 동기 촉진 - 자존감을 높임 - 상호 배려 - 이타적 관계 형성 - 낮은 불안감 - 낮은 편견 협동학습의 단점(Crandall, 1999). - 다양한 문화적 기대 충족의 문제 - 개별 학습 유형의 문제 - 개성의 차이 해결 - 모국어에의 지나친 의존 협동 학습 vs 공동 학습(collaborative learning) (Oxford 19.. 2022. 5. 14. 학습자 중심 교수(learner-centered instruction) 학습자 중심 교수(learner-centered instruction) - 특정 교수기법이며 교육과정에도 적용 가능 - 교사 중심 교수(teacher-centered instruction)와 대조되는 말 - 학습자의 요구, 유형, 목표에 초점을 맞추거나 해소해 주는 기법 - 학생들에게 일부 통제권을 주는 기법(모둠활동이나 책략 훈련) - 학생들과 상의하여 그들의 견해를 입력 - 사전에 목표를 미리 정하지 않는 교육과정 - 학생의 창의성과 혁신을 허용하는 기법 - 학생의 유능함과 자기 가치에 대한 느낌을 높여주는 기법 - 교사가 학생들에게 일정한 선택을 제공 - 이런 모든 노력은 학생들에게 그들의 학습에 대해 “주인 정신"을 갖도록 함 - 그렇게 함으로써 내적으로 동기 유발 2022. 5. 13. 과업 중심 언어지도(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과업 중심 언어지도(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 CLT의 접근 관점 중의 하나 - 일부 연구자들(Kumaravadivelu, 2006a)은 TBLT가 다른 접근법이라 주장 - 반면에 다른 연구자들(Ellis, 2003)은 TBLT가 CLT의 핵심이라고 주장 - 과업을 이용하는 것이 언어 지도의 중심 과업이란? (Peter Skehan, 1998) ▶“하나의 과업이란 어떤 목표를 얻기 위해서, 의미에 비중을 두면서 언어를 사용하도록 학습자에게 요구하는 하나의 활동이다" (Bygate, Skehan&Swain, 2001) - 읽기•의미가 일차적 - 해결해야 할 의사소통 문제가 있음 - 실생활과 관계가 있음 - 과업 완수가 우선 - 과업의 평가는 결과물을 기준으로 함 과업.. 2022. 5. 12.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CLT) ▶ 이전 교수법 이론 1940년대, 1950년대 - 교사가 과학적으로 배열한 언어 구조들을 조건화 - 학습자의 머릿속에 행동주의적으로 프로그래밍 1960년대 - Chomsky의 생성문법을 언어 교실에 맞추기 - 언어의 인지적 기호(cognitive code)를 흡수 과정에 어떻게 투입할지 고려 1970년대 - 정의적 요인이 언어 교수법 전면으로 부상 - 학습자 내부에서 작동하는 정서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기 - 교실에서 포함시켜야 할 언어 기능들을 보다 잘 이해 - 의사소통적 접근법이라고 인식하는 접근법이 나옴 1980년대 말, 1990년대 - 언어가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적인 속.. 2022. 5. 11. 교수법 이후 시기(Post-method) 교수법 이후 시기(Postmethod) - 과거에 학습과 교수에 관한 연구를 축적 - 언어 지도의 실제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법을 형성 - 그러나 백 년에 걸친 교수법들은 더 이상 결과를 못 냄 -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는 디자이너 교수법이 유행 - 그러나 표준 교수법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음 - 1990년대 초반, 새로운 방법이 꼭 필요한 건 아니라고 자각 - 필요한 것은 언어 교수에 대한 접근법(approach) 통일 - 접근법이 알려주는 효과적인 과업과 기법들을 설계하기 시작 교수법 이후(postmethod) 개념 - 오늘날의 교육학계에서도 계속 쓰임(Kumaravadivelu, 2001, 2006; Richards&Rodgers, 2001) - 지난 세기 동안에 쓰인 방법의 제한적 개념을 .. 2022. 5. 10. 1970년대의 '디자이너(designer)' 교수법 정리 1970년대의 '디자이나(designer) 교수법 정리 언어이론 학습이론 목표 교수요목 활동유형 학습자 역할 교사역할 교육자료 역할 청화식 교수법 위계상 배열된 규칙지배를 받는 체계 습관 형성 구어가 문어에 선행하면 효과적으로 학습 유추 소리 형태 순서구조 통제 언어기호에 완전 학습 음운 형태소 통사구조를 배열한 교수요목 대조분석 대화와 훈련 반복과 암기 문형연습 숙련된 훈련기법을 지도 올바른 반응 교사 중심 교사가 지배적 위치 모형제시 교사중심 자료 테이프 시각 자료 어학실습실 전신반응식 교수법 구조주의적 문법에 기조한 언어관 L2학습은 L1학습과 같음 발화전에 이해 행동을 실행하면서 각인 원어민과 불안감없이 알아들을 수 있는 의사소통 언어능력 문장중심 교수요목 문법적 어휘적 형태가 아닌 의미에 초점 .. 2022. 5. 9. 기능 중심 교수요목(Functional Syllabus) 기능 중심 교수요목(Functional Syllabus) - 1970년대의 혁신적인 교수법에 초점을 맞춘 기간 - 그때 몇 가지 중요한 기초가 세워짐 -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Notional-Functional Syllabus) - 기능 중심 교수요목(Functional Syllabus)은 교수요목을 위한 기초 - 유럽 평의회(Van Ek&Alexander, 1975)의 작업에서 시작 - 후에 '개념적(notional)' 교수요목의 여러 해석들(Wilkins, 1976)이 나옴 - 개념-기능 중심 교수요목(이하 NFS)이 1970년대에 영국에서 사용되기 시작 기능 중심 교수요목(Notional-Functional Syllabus, NFS)의 특징 - 영어 교육과정을 조직하는 요소 기능에 관심을 가짐 .. 2022. 5. 8.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3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