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영어366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 제2언어 습득 이론(Stephen Krashen, 1982, 1997) - Krashen&Tracy Terrell, 1983 개발 - 자연적 접근법(NaturalApproach)으로 구체화 - Asher의 TPR 같은 이해 기반 접근법(comprehension-based approach)의 주장을 받아들임 - 학습자가 말이 자연히 떠오를 때까지 기다려 줌 - 교실에서는 긴장을 완화 - 많은 양의 의사소통 - 분석보다는 습득(acquisition)이 중요 - 초급 수준에서는 TPR 활동 장려 -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은 습득을 위해 필수 언어 교수의 장기적인 목적 -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 문자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 2022. 5. 7.
전신반응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TPR) 전신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TPR) - 개발자 James Asher, 1977 - 사실은 1960년대 개발되나 10년이 넘어 학계에 널리 논의 ▶ 심리학자들의 흔적 이론(trace theory) - 기억은 신체 활동에 의해 연상 작용을 하는 자극을 받으며 증진 - 언어를 신체활동과 연관하면 좋다는 직관적 인식이 존재 - Asher가 흔적 이론을 TPR 개발에 활용 ▶ TPR 이론 특징 - 어린이들은 L1을 배울 때, 말하기 전에 많이 들음 - 듣기는 육체적 반응을 동반한다는 것에 주목 - 신체동작 활동은 좌뇌의 언어처리에 선행하는 우뇌의 기능이라는 주장 - 스트레스가 없어서 학생들이 방어적이지 않는 교수법 - 학생들이 많이 듣고 행동하는 교실 장려 - 교사는 학생들의 행.. 2022. 5. 6.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Caleb Gattegno, 1972) - 인지적 이론 - 문제 해결식 접근법 ▶ 침묵식 교수법의 배경 학습이론(Richards&Rodgers, 2001) - 학습은 학습자가 배울것을 기억하거나 반복하기보다 발견하고 창조할 때 더 촉진됨 - 학습은 실물이 동반되면 촉진 - 학습은 학습할 자료를 포함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촉진 ▶ 1980년대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 - 여러 사실과 원리들을 스스로 발견하는 학습 옹호 - 자신이 투자한 시간에서 얻은 지식의 개념적인 위계 조직 형성 - 기계적 학습이 줄고, 인지 범주를 의미 있게 만듦 - 귀납적 과정이 장려 됨 ▶ 침묵식 교수법의 특징 - 침묵식 교수법은 발견-학습 절차를 활용 - 창시자 Gatteg.. 2022. 5. 5.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 불가리아 심리학자 Georgi Lozanov(1979) 창안 - 인간의 두뇌는 올바른 학습 조건이 주어지면 엄청나게 많은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고 주장 - 긴장을 누그러뜨리는 것과 교사에게 학습의 통제권을 내어 맡기는 것 - 자신이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보다 더 많은 학습능력을 가짐 - 학습에서의 한계를 생각하지 않도록 하는 불암시적 교수법(Desuggestopedia) - 초감각적 지각에 관한 구소련의 심리학 연구와 요가에서 얻은 통찰을 이용 - 최대한 기억하도록 정신적 긴장 완화 상태를 이용한 학습법 - 음악이 핵심 - 분당 60박자와 독특한 리듬이 있는 바로크 음악 - 긴장이 완화된 집중 - 초학습(superlearning)이 가능하게 한다는 주장 .. 2022. 5. 4.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CLL)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CLL) - 정의적 면에 바탕을 둔 교수법 - 교실의 학생을 학급이 아난 상담과 치료가 필요한 집단으로 여김 - 집단 구성원 개개인을 존중하는 상황에서 학습을 촉진 - 교사와 학생들이 서로 어울리며 상호작용 - 개방적인 대인관계의 의사소통을 막는 방어기제를 낮춤 - Curran의 상담-학습 교육 모형으로 공동체 언어 학습법(CLL) 이란 형태 - 원형으로 둘러앉고 상담자가 밖에 앉음 - L1로 말하면 상담자가 L2로 번역 - 학습자가 다시 L2로 정확하게 반복 - 회화는 녹음하여 나중에 들음 - 상담자와 동료 의뢰인들의 정신적인 후원 - 차츰 한 단어나 어구를 외국어로 말하게 됨 - 학생들이 외국어에 친숙해지며 점점 더 직접 대화를 .. 2022. 5. 3.
인지적 기호 학습(Cognitive code learning) 인지적 기호 학습(Cognitive code learning) - 언어학에서 Chomsky의 혁명 - 언어 관련자들은 심층구조(deep structure)에 관심을 가짐 - 표층형태와 과학적 패턴을 기계적으로 연습하는 청화식은 인기를 잃음 - 변형생성에 대한 관심 - 언어와 언어 습득의 본성이 규칙-지배적(rule-governerd)이라는데 관심 - 귀납식 접근법보다 연역적 접근법을 채택 - 어린이들의 무의식적 습득을 주장 - 인지적 기호 학습(cognitive code learning) 방법론자들은 언어 수업에 연역적 규칙을 도입 - 청화식과 문법 번역식의 결합형 - 교실에서는 ALM을 유지 - 교육자료를 문법적을 배열하는 방식 - 인지적 기호학습은 방법보다는 접근법에 가까움 - 규칙을 의식적으로 인식.. 2022. 5. 2.
청화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ALM) 청화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ALM) - 20세기 전반부 직접식 교수법인 미국에서는 인기를 잃음 - 유럽에서는 외국인 원어민 교사를 쉽게 찾을 수 있지만 미국은 어려웠음 - 읽기보다 말하기 접근법이 더 유용하다고 판단 -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 - 적군의 언어에 능통할 필요를 느낌 - 육군 특수 언어 프로그램(Army Specialized Training Program:ASTP) - 육군식 교수법(Army Method) - 문법과 번역이 거의 없음 - 상당히 많은 발음, 회화 훈련, 회화 연습과 같은 구두언어활동 - 직접식 교수법의 여러기반요소를 청화식 교수법에 활용 - 1950년대 청화식교수법(Audiolingual Method)으로 알려지기 시작 -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은 조건.. 2022. 5. 1.
직접식 교수법(Direct Method) 직접식 교수법(Direct Method) - Gouin과 다른 동시대 사람들의 자연주의 접근법이 그때 당시 바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음 - 한세대가 지나고 나서 응용언어학이 자연주의 접근법의 근거가 됨 - 그러고 나서 직접식 교수법이 널리 알려지고 실행됨 - L2(제2외국어)학습은 L1(모국어) 학습과 비슷해야 한다는 것 - 많은 구두 상호작용, 언어의 자발적인 사용 - 번역과 문법 규칙 배제 직접식 교수법의 원리(Richards&Rodgers, 2001) - 교실에서 L2지도시에 오직 L2만 사용하여 가르침 - 일상의 어휘와 문장만 가르침 - 구두 의사소통 기술은 소규모 - 집중학습 수업에서 교사와 학상간의 질문과 대답 구성 - 등금을 나눈 진도에 맞춰 발달 - 문법은 귀납적 - 새 교수 요점 모형 제시와.. 2022. 4. 30.
구앵과 시리즈 교수법(Gouin's Series Method) 구앵은?- 프랑스의 라틴어 선생님 - 언어교수방법론 창시자로 인정되지는 않음 - 그 당시 직접식 교수법(Direct Metthod)을 창시한 독일인 Charles Berlitz의 명성에 가려짐 - 1880년대 저서 The Art of Learning and Studying Languages 출간 - 독일에서 독일어 유학 실패 - 귀국후 시리즈 교수법 창시 구앵과 시리즈 교수법(Gouin's Series Method)- 1800년대 말기 - 프랑스의 라틴어 선생 Francois Gouin으로 부터 시작 - 중년나이에 독일어를 배우기 위해 함부르크에 일 년 거주 - 독일어를 학습하기 위해 책을 암기하고, 번역과 문법 위주로 했으나 소득이 없음 - 독일 유학을 실패하고 집에 와보니 세살짜리 조카의 불어 실력이.. 2022. 4. 29.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 Translation Method)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 Translation Method)- 문법 규칙, 어휘와 여려 격변화, 어형 변화 암기, 텍스트 번역, 쓰기 연습- 18~19세기의 고전식 교수법- 고전적 교수법(Classical Method)은 외국어 교육의 주요 수단- 19세기에 고전적 교수법은 문법 번역식 교수법(Grammar Translation Method)으로 알려짐   ▶ 문법 번역식의 주요 특징(Prator&Celce-Murcia, 1979)- 수업은 모국어(이하 L1)로 진행, 목표어(이하 L2)의 능동적인 사용이 거의 없음- 개별적으로 독립된 단어 목록의 형태로 많은 어휘를 가르침- 복잡한 문법에 대해 정교한 설명- 초반부터 어려운 문장을 읽음- 글의 내용에는 거의 관심 없음, 단지 문법적인 분석을 위.. 2022. 4.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