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PLLT

5장- 개인적 차이(학습 스타일)

by 피글릿 2022. 8. 30.
728x90
반응형

개인적 차이

 

▶ 역사적 배경

- 1970년대 L2 습득에 대한 지식이 증가

- 교사들과 연구자들은 누구나 성공하는 궁극적인 언어 교수법은 없다는 것을 깨달음

- 심지어 어떤 학습자들은 교수법과 무관하게 L2를 배워도 성공

- 중요한 것은 우리는 언어 학습에 있어 개인 변이(variation)

 

 

 


Rubin(1975)과 Stern(1975) 우수한 언어 학습자들의 특징 

 

1. 자기 자신의 학습에 책임감을 갖고, 언어를 활용할 기회를 찾음 
2. 언어를 창조적으로 활용하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지적인 추론을 함

3. 언어 단위들을 학습하며, “그들의 능력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대화 책략을 익힘 
4. 다양한 기억 책략 및 표현(production) 요령과 이해 기법을 사용

5. 그들은 스스로를 모니터링하며, 자신들의 오류를 활용하며, 실수를 통해 학습 

-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성공적이지 못한 학습자들(Vann & Abraham, 1990)의 특성을 구별하려는 목적을 가진 일련의 연구와 저서 출판을 촉발

- 어떻게 하면 성공적인 언어 학습자가 되는지에 대한 제안 혹은 책략(strategy) 모음집

- “책략 기반 지도법" (strategies-based instruction: SBI)으로 알려지게 된 것에 대한 관심이 증가

- 더 최근, 30년간의 책략 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 등장

- Vygotsky (1978)와 Bakhtin(1986, 1990)의 영향으로 Norton과 Toohey(2001)는 사회문화적 접근법 채택

- 학습자는 특정한 관례(practices)에 따라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지역적 맥락에 있는 언어 사용자 공동체 참여자

- 이 관점의 토대는 학습자들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맥락 안에서 형성하는 정체성(identity)

- 자신의 학습 과정에 투자하게 되면서 성공의 길을 만들어 간다는 것 

 

 

 


▣ 학습 스타일

- 스타일은 지적 기능(그리고 또한 성격 유형)의 일반적인 특징

- 각 학습자를 한 개인으로 간주

- 다른 사람과 구별

- 스타일은 개인 내에서 일관되고 다소 지속되는 경향 또는 선호(preferences)

- 학습 스타일학습 책략(learning strategy)과는 다름

- 책략문제나 과업에 접근하는 특정한 방식이나 특정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기법

- 또는 특정 정보를 통제하고 조작하기 위한 디자인

Oxford와 Ehrman은 제2언어 학습 책략을 “학생들이 그들 스스로의 학습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정한 행위, 행동, 단계, 또는 기법”으로 정의한 바 있다(1988, p. 22). 학습 책략은 순간순간 다를 수도 있고, 한 맥락과 다른 맥락에서 또 다르고, 심지어는 문화마다 다른 맥락화 된 “전투 계획(battle plans)”이기 때문에, 학습 책략은 한 개인 내에서도 달라진다. 우리 개개인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가능한 옵션들을 가지고 있으며, “공격” 방식을 선택한다.


- 어떤 것을 학습하고 문제 해결하는 방식은 자신의 성격과 인지 사이에 존재하는 비정형의 연결 고리에 의해 결정

- 연결 고리는 인지 스타일(cognitive style)

- 인지 스타일이 정서적,  생리적 요인이 복합된 교육적 맥락에 관련될 때, 학습 스타일(learning style)이라 함 
- 학습 스타일은 “학습자가 어떻게 학습 환경에 대해 지각하고, 상호작용하고, 반응하는가를 보여주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지표인 인지적, 정서적, 생리적 특질"(Keefe, 1979, p. 4)

- “특정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자발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일반적인 성향”(Peter Skehan, 1991)

 

 

 


▶ 좌뇌 대 우뇌 우세형 애매모호성에 대한 관용 VS 비관용 시각적 대 청각적 대 운동 감각적 유형(Stevick, 1982; Chapelle, 1983; Chapelle & Roberts, 1986; Danesi, 1988;Reid, 1995; Brown, 2002)

- 무엇이 학습 스타일이고 어떻게 측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간의 의견이 분분

- Dörnyei(2005, 2009)는 인지 및 학습 유형을 다룬 선행연구를 가장 혹독하게 비판

- Dörnyei는 학습 스타일이 “겉으로 보기에는 명료하고 직관적으로 설득력 있는” 속성을 지니고 있고,

- 교육적 맥락에서의 잠재적 가치 역시 인정하긴 하지만,

- 스타일을 개념화할 때의 많은 문제를 제기

- 그러나 최종 평가에서는 뜻밖에 스타일들이 “아직은 구현되지 않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인정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