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실 내에서의 학습 이론들: ALM과 CLL
- 학습에 대한 특정한 관점과 두드러진 관계를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언어 교수 방법들이 언어 교수의 지난 세기에 등장
- 행동주의 원칙들에 의해 영감을 받은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 Carl Rogers의 이론을 적용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시도인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 서로 극명한 대조를 이룸
▶ 청화식 교수법
-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 미국인들 사이에는 동맹국들의 언어와 적국들의 언어에 모두 구술적으로 능통해져야 하는 필요성이 고조
- 듣기/말하기 기술에 초점을 맞춘 집중 어학 코스의 필요성
- 미군은 군대 특수 언어 훈련 프로그램(Army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ASTP)
- 혹은 “군대식 교수법(Army Method)”으로 알려지게 된 것들을 위해 재정적인 지원
- 군대식 교수법은 발음, 패턴 연습과 회화 연습과 같은 다량의 말하기 활동을 활용
- 이상하게도 연역적이고 명시적인 문법 교수와 번역에 대한 거부로
- 전통적인 교실에서의 이러한 특징들 중 실질적으로 그 어떤 것도 이 교수법 내에서는 사용되지 못함
- 얼마 지나지 않아 군대 언어 교육원에서의 군대식 교수법 성공에 힘입어,
- 교육 기관들도 이 새로운 방법을 채택하기 시작
- 모든 변화와 적용을 거쳐 군대식 교수법은 1950년대에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ALM)으로 알려짐
- 청화식 교수법은 언어적이고 심리학적인 이론에 철저하게 기반
- 1940년대와 1950년대의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은 소위 다양한 언어들에 대한 “과학적인 기술 분석"이라는 것에 빠짐
- 교육자들은 그러한 분석을 언어적 패턴을 가르치는데 직접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봄(Fries, 1945)
- 동시에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은 학습에 있어 조건화와 습관 형성 모델들을 옹호
- 고전적 및 조작자 조건화 모델들은 청화식 교수법에서 매우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는 모방 연습 및 패턴 연습에 대한 완벽한 근거를 제공
-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광범위한 출판과 더불어 청화식 교수법은 수년간 인기를 누림
- 그러나 청화식 교수법의 장기적 의사소통 능력 교수에 대한 궁극적인 실패 때문에 결국 시들해짐
- 언어가 습관 형성이나 과도한 학습의 과정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님
- 오류가 무슨 수를 써서라도 반드시 회피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 또한 구조주의 언어학자들은 수업 계획표를 명확히 알려준 바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됨
- 청화식 교수법은 그 이전의 언어교수 방법들의 결실을 수확해 주는 과감한 시도였으나,
- 결국에는 그것 역시 부족
- 그러나 그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심지어 의사소통식 교실에서조차 연습 루틴이라는 흔적이 남겨짐
- 청화식 교수법은 또한 언어학에서 촘스키적인 혁명(Chomskyan revolution)이 언어학자들과 언어 교사들을 언어의 기저 구조로 관심을 향하게 하고 심리학자들이 언어 학습을 근본적으로 대인관계의 본질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그 전성기의 영향력을 상당 부분을 잃음
▶ 공동체 언어 학습법
- 자신의 “상담-학습” 교육 모델에서 Charles Curran(1972)은
- Rogers(1951)의 학생들과 선생님이 집단 내에 있는 각 개인들을 존중하고 소중히 하는 환경에서
-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같이 합류하는 교육에 대한 관점에서 영감을 받음
- 그런 환경에서 각 개인은 개방적인 대인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방어기제들을 낮춤
- 교육 환경에 의해 발생한 불안은 지원하는 공동체의 도움으로 줄어듦
- 교사의 존재는 위협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교사의 목적 또한 한계와 경계를 부여하기 위함이 아님
- “상담자”로서 교사의 역할은 그의 관심을 고객들(학생들)과 그들의 필요에 두는 것
- Curran의 교육 모델은 언어 학습 환경에 공동체 언어 학습법이라는 형태로 확장(LaForge, 1971).
▶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기본적인 방법
- 학생들은 마치 그들이 외국에 막 도착했을 때 하는 것처럼, 무엇이든지 도전하도록 장려
- 그들은 그들이 원하는 어떠한 언어 형태들도 귀납적으로 내뱉을 무제한의 자유가 있음
- 교사는 학생들이 요청할 때, 발화 시도에 대한 강화나 이해, 설명에 있어 통역을 사용할 수 있음
- 학습자들은 항상 그들이 필요할 때 그들을 안내해주는 지지자 역할을 하는 교사와 함께 서로에게 응답하도록 장려
- 그러나 강요되지는 않음
- 이유는 학생들이 (교사에게) 의존하는 것으로부터 서서히 독립해 가기 위함
- L2 학습에 있어 몇몇 위협하는 정서적인 요소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용감한 시도
▶ 이론적인 문제들
- 상담자 교사의 비지시적인 역할(nondirective role)은 많은 시행착오를 초래
- 그중 상당 부분은 생산적이지 않았음
- 귀납적인 시도들이 L2 학습에 있어 활력을 불어넣는 구성요소이기는 하지만, 몇 날 몇 주를 낭비
- 번역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종종 피할 수 있었던 언어적인 오류를 불러일으킴
▶공동체 언어 학습법은 교사들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
- 학습자들의 긴장감을 낮추고, 우리들의 교실에서 최대한 지지하는 집단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언어를 먼저 발화하게끔 하고, 학습자들이 더 이상 그들을 안내해 주는 교사가 없는 날을 대비하여 자율성을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분명히 행동주의적으로 영향을 받은 청화식 교수법에서 완전히 벗어난 방법의 예를 보았지만, 또한 가장 효과적인 언어 교실들은 다양한 잠재적으로 대조되는 교수법들의 이런저런 부분들을 드러내 보이며, 성공적인 교사들은 언어 수업을 위한 그들의 과업 선택에 있어 절충적으로(eclectically) 신중하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영어 > PLL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장- 개인적 차이(장 독립성과 장 민감성) (0) | 2022.08.31 |
---|---|
5장- 개인적 차이(학습 스타일) (0) | 2022.08.30 |
4장 - 지능과 언어학습 (0) | 2022.08.26 |
4장 - 언어 적성 (0) | 2022.08.25 |
4장 - 인간의 학습에 있어 근원적 개념들(귀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