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PLLT

6장 - 억제

by 피글릿 2022. 9. 25.
728x90
반응형

▣ 억제 

- 모든 인간은 그들 자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자아(ego)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기제를 구축

- 자아 개념 없이 태어난 어린아이는 점차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는 자신을 식별

- 후에 자기를 인식하고 반응하고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는 단계로 접어듦

- 청소년기에는 신체적, 감정적, 인지적인 변화들이 자아 존중을 정립한 기초가 되는 가치나 신념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연약한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방어적인 억제(inhibition)를 쌓게 됨
- 이러한 방어 체제를 형성하는 과정은 성년기까지 계속됨

- 높은 자아존중이나 강한 자아를 가진 사람은 그들 존재에 대한 위협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방어 체제의 수준이 낮음

- 약한 자아 존중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상황이나 과제에서 자기 생각에는 약하고 손상받기 쉬운 자아나 낮은 자기 효능감을 보호하기 위해 더 강력한 억제의 “벽"을 쌓게 됨
- 인간의 자아라는 개념은 L2언어 습득에서 개인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천성이라고 한 언어 자아(language ego)를 포함

- L2 습득에서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새로 습득한 능력과 함께 새 정체성을 가지면서 정체성에 대해 갈등을 겪음

- 순응적(adaptive) 언어 자아는 학습자의 성공적인 언어 학습을 방해할 수 있는 억제의 장벽을 낮출 수 있음 

Guiora와 다른 연구자들(1972a)은 태국어로 발음 시험을 치러야 하는 실험 대상 집단에게 평소보다 억제를 덜 느끼게 하기 위하여 소량의 음주를 하게 했다. 적절한 양의 술을 마신 집단은 더 많이 혹은 더 적은 양의 술을 마신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뛰어난 수행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그는 억압된 억제가 발음 수행 능력을 높인다는 결론을 내렸다. 두 번째 연구(Guiora et al., 1980)는 발륨(Valium)이라는 신경 안정제와 발음과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측정되었지만, 기대했던 바와는 다르게 다양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 위의 연구들은 곧 많은 비판에 직면

- Scovel(2001)은 연구의 통제 조건과 실험 설계에 대해 의문을 제기

- 또한, 술이 억제를 낮출지 모르지만, 술과 발륨 자체가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기에,

- 실험 집단이 발음을 뛰어나게 잘했던 숨겨진 또 하나의 주 요인이었을 수도 있음

- 더 나아가 과연 발음이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나타내는 적절한 척도인 것일까? 
-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우리들은 L2 습득에 대하여 어떤 통찰력을 얻었는가? 

- 직접적으로 얻은 것은 없지만 간접적으로 연구자들은 이후 억제에 주목하게 됨

- 우리 자신과 타인들 사이에 쳐둔 방어가 L2언어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라는 점 역시 부각

- Ehrman(1993, 1999)은 일부 학생들에게는 얇은(투과성 있는) 자아 경계(thinego boundaries)가

- 다른 학생들에게는 두터운(투과성 없는) 자아 경계가 중요하게 작용함을 암시

- 개방적이고 수용적이고 모호성에 대한 관용을 지닌 얇은 자아 경계를 가진 사람들은 강하게 밀어붙이고, 체계적이고, 완벽주의적인 두터운 자아 경계를 가진 사람들과는 다른 성공 방식을 가지고 있음

 

 

 


- 교육학적 접근법은 학생들이 위험을 감수하고, 기꺼이 의사소통하며, 그들이 발달시키고 있는 언어 능력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안전한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L2 교실에서 억제를 줄일 기회를 적용

- L2 습득에서 실수는 학습자가 세운 자기만의 언어 가설을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검증해보는 습득 과정의 일부

- 아동들의 L1 학습과 성인의 L2 학습은 둘 다 실수를 통해 배운다는 점에서 일맥상통

- 어떤 문장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신할 때까지 말로 표현해 보려 하지 않으면, 생산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어려움

- 그러나 실수는 자신의 자아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될 수 있음

- 앞서 언급한 귀인 이론을 적용해 보면, 실수는 내적 및 외적 위협이 됨

- 내적으로는 비판적인 자아(critical self)와 수행하고 있는 자아(performing self)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음

- 즉, 학습자가 “잘못된 것”을 수행하면, 학습자는 스스로의 실수에 비판적으로 변함

- 외적으로 학습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비판적이라고 생각하며, 심지어는 그들이 배우고 있는 L2언어에서 실수를 했을 때 다른 사람들이 인간 전체로서의 자신을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 

 

 

 


▶ Earl Stevick(19766)

 

- 언어 학습이 다양한 형태의 소외(alienation)

- 비판적인 나와 수행하는 나, L1 문화와 L2 문화, 나와 내 교사, 나와 내 동료 학생들 사이의 소외를 수반한다고 언급

- 이러한 소외는 우리 주변에 구축하는 방어 체계로부터 생겨 남

- 이러한 방어는 학습을 억제하기 때문에 방어를 제거하는 것은 언어 학습을 증진

- 이는 몇 가지 다른 시도를 통해서 자기 자신을 밖으로 분명히 드러내는 것과 관련 

728x90
반응형

'영어 > PLL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장 - 감정이입  (0) 2022.09.27
6장 - 불안  (0) 2022.09.26
6장 - 의사소통에의 의지  (0) 2022.09.24
6장 - 귀인 이론과 자기 효능감  (0) 2022.09.23
6장 - 자아 존중  (0) 2022.09.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