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PLLT

4장 - 인간의 학습(사회적 구성주의 관점 )

by 피글릿 2022. 8. 20.
728x90
반응형

인간의 학습

 

▶ 학습(learning)이란? 

 

- 공부하고, 경험하고, 배워서 어떤 대상이나 기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거나 얻는 것

- 행동적 경향성에 있어 상대적으로 영구적인 변화

- 강화된 행동의 결과

 

 

 



※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

▶ Carl Rogers

- 그의 연구는 특히 교육적인 맥락에서 학습에 관한 오늘날 우리의 이해에 중대한 영향

- 인본주의 심리학에 관한 그의 입장은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행동을 분석한 저작물이면서

- 그와 동년배인 Skinner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관점을 취한

- 그 자신의 고전적인 연구물 『고객-중심 치료」(Client-Centered Therapy)에서 비롯

- “전인적 인간”을 신체적, 인지적, 그러나 주로 정서적인 존재로서 봄

- “완전히 기능하는 인간"은 자신의 감정, 정서와 함께 평화롭게 살고 완전한 잠재력에 도달할 수 있음(Rogers, 1977) 
- Rogers의 입장은 교육에 있어 “교수”에서 떨어져서 “학습”으로, 

- 혹은 O'Hara(2003)의 용어로는, “변화시키는 교육학"에 초점을 맞춘다는 중요한 의의를 가짐

- 교육의 목적은 변화와 학습의 촉진

- 어떻게 배우는 가를 학습하는 것은

- 무엇이 교수되어야 하는지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교사의 “우월하고 유리한 위치에서 교수받는 것보다 더 중요 
- 중요한 것은 교사들이 우월함과 전지전능함의 가면을 벗어버리고 학습의 촉진자가 되는 것

- 교사들은 가치 있고 귀중한 개인으로서 학생에 대한 진실된 신뢰와 수용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 학생과 교사 사이에 소통할 수 있는 방법들을 계속해서 열어 놓아야 함 

 

 

그러나 Rogers의 인본주의가 행동주의 심리학의 과학적인 분석과 엄격한 인지주의 이론들로부터 너무 급진적

Rogers는 학습의 실제 인지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음

물론 교사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실과 원칙들을 스스로 “발견하게끔 하는 과정에서 소중한 시간을 잃게 되는 때까지 너무 심하게 비지시적인 교수법을 활용하게 될 수도 있음

비 위협적인 환경은 너무도 “따뜻하고 애매해서” 학습을 위해 필요한 촉진적인 긴장감이 없을 수 있음

교실 내에서 경쟁이 자존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학습 동기를 방해하지 않는 한, 그러한 경쟁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들에 대해 입증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음(Bailey, 1983)

 

 

 



▶ Paolo Freire

- 브라질 출신의 교육학자 Paolo Freire(1970)

- 교사들이 진실된 지식을 구성한다 생각되는 정보를 예금, 그것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예금(1972, p. 62)을 하면서

- 그들의 일은 학생들을 “채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교육에 대한 전통적인 “은행식” 개념에 격렬하게 반대

- 대신 Freire는 학생들이 학습 결과물들에 대해 협상하고, 발견의 과정에서 교사나 다른 학생들과 협력

- 그들이 학교에서 하는 모든 것들을 교실 밖 현실과 연관시킬 수 있도록 허락되어야 한다고 주장 
- Freire가 전 세계적으로 수백 만의 교사들에게 영감을 준 연구물인

- 『페다고지: 억눌린 자를 위한 교육(Pedagogy of the Oppressed, 1970)을 집필하도록 자극한 것은

- 이러한 실재 세계의 현실에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게끔 도와줄 필요성이었음

- 교육은 학생들이 지식의 다양한 규범들 아래를 볼 수 있고, 단순히 받아들이라고 듣는 것들에 대해서 질문하는 비판적 사고에 참여할 수 있게끔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함

- 학생들이 “혼자 힘으로 그들 자신을 끌어올리면서” 그들 자신의 자율권(empowerment)을 위한 도구가 되길 원함

- 교육에 대한 그러한 “해방운동가적인 시선은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지만(Clarke, 1990)

- 그럼에도 학습자들은 현실 세계에 있는 실질적인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음 

 

 

 

 


▶ Lev Vygotsky

- 『사고와 언어』(Thought and Language) 1934년 출판물의 저자인 러시아 출신의 Lev Vygotsky

- 세상의 이목이 그와 같은 나라 출신인 Pavlov와 그의 행동주의 동료들에게 비추던 시절에는 거의 주목받지 못함

- 그러나 20세기 후반 심리학 연구의 새 흐름이 사회문화적이고 정서적인 요인들에 적절한 주의를 기울임에 따라

- 인간의 학습에 대한 Vygotsky의 공헌들이 그 독특한 통찰력으로 주목 받음 
- 인간의 정신 활동의 고차원적인 형태를 이해하는 키는 기호와 표지(sign), 언어의 중재(mediation)에 있음

- 우리를 둘러싼 세상과 인식된 사건들, 숫자와 음악, 예술, 그리고 물론, 언어를 통한 지식의 체계를 이해

- 심리학의 과제는 “문화적으로 만들어진 유물들과 사회적 관계들을 통해 어떻게 인간의 사회적이고 정신적인 활동이 조직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Lantolf, 2000, p. 80).
- 언어는 단지 사고를 위한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는 능력

- 언어는 주로 다른 인간들과의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도구

- 인지 발달과 성장에 있어 원동력이 되는 것은 다름 아닌 바로 이러한 공생 관계

- 어린아이의 언어 습득의 초기 단계는 “주어진 문화의 다른 구성원과 공동 활동에서의 '의미 만들기" 과정의 결과물

 

 

 


▶ 인간의 학습에 대한 관점들

행동주의 인지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조건화
보상
자극-반응 연결
강화
강조점: 신체적
언어-인지 연결
유의적 학습
포섭
체계적 망각
강조점: 정신적
학습자 자율성
전인적 인간
자율권
중재로서의 언어
강조점: 사회정서적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