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 제2언어 습득 이론(Stephen Krashen, 1982, 1997)
- Krashen&Tracy Terrell, 1983 개발
- 자연적 접근법(NaturalApproach)으로 구체화
- Asher의 TPR 같은 이해 기반 접근법(comprehension-based approach)의 주장을 받아들임
- 학습자가 말이 자연히 떠오를 때까지 기다려 줌
- 교실에서는 긴장을 완화
- 많은 양의 의사소통
- 분석보다는 습득(acquisition)이 중요
- 초급 수준에서는 TPR 활동 장려
-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은 습득을 위해 필수
언어 교수의 장기적인 목적
-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 문자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 학문적인 이유
- 강의를 듣거나, 교실 상황에서 말을 하거나, 혹은 연구 보고서를 쓰는 일 등
자연적 접근법의 종합 목적
- 기본적인 대인간의 의사소통
- 일상적인 회화, 물건 사기, 라디오 듣기 같은 상황에서 의사소통 목적
- 교사의 초기의 임무는 이해 가능한 입력 제공
-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거나 학습자의 수준을 아주 넘는 수준의 입력 제공
- '침묵기(silent period)' 동안 학습자는 말을 안해도 됨
- 교사는 학습자에게 입력을 제공하는 원천
- 재미있고 지적으로 자극을 주는 교실 활동 준비
- 명령, 게임, 촌극, 모둠 활동 등을 다양하게 준비
Krashen과 Terrell이 정의한 학습자의 세 단계
① 발화 이전 단계: 듣기 이해 기술을 발달시키는 단계
② 초기 발화 단계: 학생이 새로운 언어를 만들며 노력, 오류를 많이 만듦. 교사는 이 단계에서 의미에 초점을 맞추고 형태에 초점을 맞추지 않음. 큰 문제가 안된다면 학생들의 오류를 수정하거나 신경 쓰지 않음.
③ 마자막 단계: 복잡한 게임, 역할극(role play), 결말이 개방형인 대화, 토의, 연장된 모둠 활동 등으로 길어진 담화로 확대. 이 단계의 목표는 유창성을 증진, 교사는 오류 수정을 아주 드물게 함.
자연적 접근법의 평가
- 침묵기와 이해 가능한 입력을 지나치게 강조
- 말이 떠오를 때까지 구두 발화를 미루는 단점(Gibbons, 1985)
- 말이 절대로 떠오르지 않는 학생들은 어떻게 할지 문제
- 말이 떠오르는 데 걸리는 시간이 모두 다른 학생을 데리고 어떻게 수업을 효율적으로 이끌지 문제
- 이해 가능한 입력이라는 것은 정의하기에는 어려운 개념
- 학생들에게 어떤 구조를 제시해야 할지의 문제(Langi, 1984)
- 언어의 구조보다는 회화의 주제가 의사소통 상호작용을 인도해 나가는 것처럼 보임
- 대부분의 교사와 연구자들은 학습자들에게 곧장 말을 하도록 강요하는 경향을 인정하게 되는 계기
- 학생들이 새로운 언어에 익숙해질 때까지 침묵기를 인정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유익
- TPR과 기타 입력을 통해 학생들의 언어 자아를 위협을 받지 않게 됨
- 학생들이 당장의 결과를 강요받지 않게 됨
'영어 > TBP'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0년대의 '디자이너(designer)' 교수법 정리 (0) | 2022.05.09 |
---|---|
기능 중심 교수요목(Functional Syllabus) (0) | 2022.05.08 |
전신반응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TPR) (0) | 2022.05.06 |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0) | 2022.05.05 |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0) | 2022.05.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