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번역/명심보감49

명심보감 - 천명편2(하늘의 이치) 天聽이 寂無音이라 蒼蒼何處尋고 非高亦非遠이라 都只在人心이니라 〈邵康節〉 天聽(천청)이 寂無音(적무음)이라 蒼蒼何處尋(창창하처심)고 非高亦非遠(비고역비원)이라 都只在人心(도지재인심)이니라 하늘의 들으심은 조용하여 소리가 없다. 푸르고 푸르른데 어느 곳에서 찾을까? 높지도 않고 또한 멀지도 않다. 모두가 다만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것이다. 사실 하늘은 말이 없기에 우리가 천심(天心)이 어떤지 알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마음을 깨끗이 비우고, 집중하여, 조용히 생각해 보면 하늘의 뜻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옛말 씀에 '인심즉천심(人心卽心 인심이 곧 천심이다)'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의 뜻은 천심이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선하지 않은 일을 하게 되면 내재된 마음속에서 부끄러.. 2022. 11. 26.
명심보감 - 천명편 1 (하늘의 이치) 順天者는 存하고 逆天者는 亡이니라 順天者(순천자)는 存(존)하고 逆天者(역천자)는 亡(망)이니라 하늘의 이치를 순종하는 자는 살아남고, 하늘의 이치를 거스르는 자는 망한다. 이 세상 사람들이 자신의 본능대로만 살아간다면 사회는 유지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사회 질사 유지를 위해 규범, 규칙, 법을 만들었고, 남에게 피해 주지 않고 올바르게 살도록 정했습니다. 그렇다면 자연의 질서를 유지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옛날 우리 조상들은 이것을 하늘의 이치라고 생각했고, '천명'이라고 말했습니다. 천명은 법처럼 지키지 않는다고 벌금을 내거나 법적인 불이익을 받거나 하는 강제력은 없지만, 사실은 모든 사람들이 따라야 하는 최고 가치입니다. 자연의 질서를 무시하고 지키지 않은 채 발전한 선진국은 찾기 어렵습니.. 2022. 6. 2.
명심보감 - 계선편 7 (선행을 계속하라) 見善如不及하고 見不善如探湯 하라 見善如不及(견선여불급)하고 見不善如探湯(견불선여탐탕)하라 선한 일을 보면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하고, 악한 일을 보면 끓는 물을 만진 것처럼 하라. 우리가 선한 일을 본다면 마치 달리기 경기를 할 때 앞다투어 나가려고 하는 것처럼 열심히 나서서 해야 하고, 반대로 악한 일을 본다면 마치 뜨겁게 끓는 물을 만졌을 때처럼 놀라며 되도록 멀찌감치 떨어져서 피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달리기 경기를 할 때 뛰어나가거나, 펄펄 끓는 물을 만지게 된다거나 한다면 생각할 여지도 없이 우리는 당연히 그렇게 행동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실 세상에서 선과 악을 마주치게 되고, 선택해야 하는 갈림길에 놓이게 된다면 사람이기에 고민을 하게 될 때도 있습니다. 이 일을 어떻게 처리.. 2022. 6. 1.
명심보감 - 계선편 6 (선행을 계속하라) 一日行善이면 福雖未至나 禍自遠矣요 一日行惡이면 禍雖未至나 福自遠矣니라 〈東嶽聖帝垂訓> 一日行善(일일행선)이면 福雖未至(복수미지)나 禍自遠矣(화자원의)요 一日行惡(일일행악)이면 禍雖未至(화수미지)나 福自遠矣(복자원의)니라 하루 선을 행하면 복은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재앙은 저절로 멀어지고, 하루 악을 행하면 재앙은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복은 저절로 멀어진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항상 선택을 합니다. 때로는 그것이 선과 악의 갈림길에서 일 때도 있습니다. 지금 당장 내가 조금 선한 선택을 한다고 그것이 당장 나에게 복을 가져다 주지는 않겠지만, 악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는 있습니다. 지금 당장 내가 조금 악한 선택을 한다고 그것이 바로 나를 화에 직면하게 만들지는 않겠지만 선으로부터 조금씩 멀어지게 만들 수 .. 2022. 5. 31.
명심보감 - 계선편 5 (선행을 계속하라) 於我善者도 我亦善之하고 於我惡者도 我亦善之니라 我旣於人에 無惡이면 人能於我에 無惡哉인저 於我善者(어아선자)도 我亦善之(아역선지)하고 於我惡者(어아악자)도 我亦善之(아역선지)니라 我旣於人(아기어인)에 無惡(무악)이면 人能於我(인능어아)에 無惡哉(무악재)인저 나에게 선하게 하는 사람에게도 나 또한 선하게 하고, 나에게 악하게 하는 사람에게도 나 또한 선하게 할 것이다. 내가 이미 남에게 악하게 함이 없으면 남도 나에게 악하게 함이 없을 것이다. 於(어): ~에, ~에게(전치사) 我(아): 나 善(선): 착하다, 어질다 者(자): 사람 亦(역): 또, 또한 惡(악): 악하다, 나쁘다 旣(기): 이미, 벌써 哉(재): 의문 종결사, 감탄 종결사 장자(莊子): B.C.365~B.C.290.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 2022. 1. 15.
명심보감 - 계선편 4 (선행을 계속하라) 恩義를 생각하며 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가 讐怨을 莫結하라 路逢狹處면 難回避니라 恩義(은의)를 생각하며 廣施(광시)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인생하처불상봉)가 讐怨(수원)을 莫結(막결)하라 路逢狹處(노봉협처)면 難回避(난회피)니라 은의를 광시하라 인생하처불상봉가 수원을 막결하라 노봉협처면 난회피니라 은혜와 의를 널리 베풀라. 사람이 어느 곳에서든 서로 만나지 않겠는가? 원수와 원한을 맺지 말라. 길이 좁은 곳에서 만나면 돌아서서 피하기 어렵다. 廣(광): 넓다 施(시): 베풀다 何(하): 어느 讐(수): 원수 結(결): 맺다 路(노,로): 길 狹(협): 좁다 難(난): 어렵다 避(피): 피하다 경행록(景行錄): 중국 송나라 때에 지어진 책으로 알려져 있지만 저자가 누군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합니다. 실존하고 있는 완.. 2022. 1. 13.
명심보감 - 계선편 3 (선행을 계속하라) 積金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이 能盡守요 積書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이 能盡讀이니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하여 以爲子孫之計也니라 積金以遺子孫(적금이유자손)이라도 未必子孫(미필자손)이 能盡守(능진수)요 積書以遺子孫(적서이유자손)이라도 未必子孫(미필자손)이 能盡讀(능진독)이니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불여적음덕어명명지중)하여 以爲子孫之計也(이위자손지계야)니라 ​ 적금이유자손이라도 미필자손이 능진수요 적서이유자손이라도 미필자손이 능진독이니 불여적음덕어명명지중하여 이위자손지계야니라 ​ 황금을 쌓아서 자손에게 남겨 주어도 반드시 자손이 다 지키지는 못하고, 책을 쌓아서 자손에게 남겨주어도 반드시 자손이 다 읽지는 못하니, 남 모르는 가운데 덕을 쌓아서 자손을 위한 계책으로 삼느니만 못하다. 積(적) : 쌓다, 쌓이다 以(이) :.. 2022. 1. 12.
명심보감 - 계선편 2 (선행을 계속하라) 勿以善小而不爲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勿以善小而不爲(물이선소이불위)하고 勿以惡小而爲之(물이악소이위지)하라 물이선소이불위하고 물이악소이위지하라 ​ 선한 일이 작다고 해서 하지 않아서는 안 될 것이며, 악한 일이 작다고 해서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 勿(말 물) : ~하지 말라, 없도록 하라 以(써 이) : ~이로써, ~로서 善(착할 선) : 착하다, 좋다, 훌륭하다 小(작을 소) : 작다 而(말 이을 이) : 말 이을, 어조사, 접속사로 문장을 이을 때 사용됨 不(아닐 불) : 아니다, 못하다, 아니하다 爲(할 위) : 하다 惡(악할 악) : 악하다, 나쁘다 之(갈 지) : 그것(지시대명사) 명심보감 계선편에서는 앞으로도 선행에 관련된 내용을 다룹니다. 그중 오늘 배운 이 문장은 삼국지의 유비의 어록입니.. 2022. 1. 10.
명심보감 - 계선편 1 (선행을 계속하라) 爲善者는 天報之以福 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爲善者(위선자)는 天報之以福(천보지이복)하고 爲不善者(위불선자)는 天報之以禍(천보지이화)니라 ​ 위선자는 천보지이복하고 위불선자는 천보지이화니라 ​ 선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주시고, 선하지 못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재앙을 주신다. ​ 爲(위) : 하다, 행하다 善(선): 착하다, 좋다, 훌륭하다 者(자) : 사람 天(천) : 하늘 報(보) : 갚다, 알리다 之(지) : 그것(지시대명사) 以(이) : ~으로써, ~로서 福(복) : 복, 행복 不(불) : 아니다, 못하다, 아니하다 禍(화) : 화, 재앙 공자(孔子): B.C.551~B.C.479. 성은 공(孔)씨이고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입니다. 삶의 최고 가치로 '어질 .. 2022. 1.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