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법과 자료
- 교실 내의 기법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일과 광범위하게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고 선정하는 일
- 이 부분의 전개과정은 먼저 강좌에 대한 거시적이고 넓은 시각에서 강좌를 조감
- 다음에 한 강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인 수업에 초점을 맞춤
- 그 수업의 구성요소들을 미시적으로 들여다봄
- 그 구성요소들은 수업을 이루는 기법과 활동들
- 그리고 그런 기법들을 지원해줄 자료
◆ 기법 분류표
- Crookes와 Chaudron(1991)의 분류표
- 통상적 언어 교수기법의 종합적인 분류표
- 세 가지의 대 범주, 즉 통제적, 반 통제적, 자유 범주가 사용
▼ 언어 교수기법의 분류표 (Crookes와 Chaudron, 1991, 각색)
통제적 기법(controlled techniques) 1. 준비 활동: 무언극, 춤, 노래, 농담, 연극, 이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극을 받고, 긴장 완화, 동기 유발, 주의 집중, 혹은 기타 수업에 대비한 준비태세로 들어가게 한다. 반드시 목표어를 사용해야 할 필요는 없다. 2. 상황 설정: 수업 화제에 초점을 맞추어 들어가기. 교사는 질문, 무언극 혹은 그림 제시를 통하여 수업에 관련된 맥락에 대해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환기를 함으로써 학생들의 주의를 화제에 돌리게 한다. 3. 조직하기: 수업이나 학급 활동을 구조화하는 일에는 규율 행위, 교실의 책걸상과 좌석 배치, 교실 내 상호작용과 수행에 관한 일반 절차들, 수업의 구조와 목적 등이 포함된다. 4. 내용 설명: 문법적, 음운적, 어휘적(단어), 사회 언어학적, 화용적, 혹은 기타 언어적 국면들. 5. 역할극 시범: 선발된 학생들이나 교사가 이어지는 한 토막의 수업에 적용될 절차들을 예시한다. 사용하게 될 언어와 기타 내용에 대한 간단한 예시를 포함한다. 6. 대화/이야기 제시: 수동적 수용을 위해 제시되는 읽기 혹은 듣기 단락. 학생들에게 표현하도록 요구하거나 기타 구체적 언어 형태를 식별하라는 암시가 없다(학생들에게 “이해" 하도록 요구할 수는 있다). 7. 대화/이야기 낭송: 이전에 알고 있거나 미리 준비한 텍스트를 합창으로나 개별적으로 낭송하기. 8. 음독: 주어진 텍스트를 직접 읽기. 9. 점검하기: 다른 활동 속의 활동이 아니라 피드백을 하나의 활동으로서 교사가 학생의 작업에 대해 교정한 것을 돌리거나 교정을 지도해주기. 10. 전시형 질문 응답: 전시형 질문(display question)을 통하여 학생 응답을 촉진하는 활동예시적 질문은 교사나 질문자가 응답을 알거나 매우 제한된 수의 응답이 정답으로 예상되는 질문임). 질문자가 응답을 알고 있을 개연성과 화자가 그 사실을 알고 있을 개연성 측면에서 참조형 질문(referentialquestion)과 구별이 된다. 11. 훈련: 교사가 응답을 구하고 학생이 응답하는 정해진 패턴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활동으로 대개 반복, 대치, 기타 기계적 변화를 한다. 전형적으로 의미가 거의 따라 붙지 않는다. 12. 번역: 주어진 텍스트를 학생이나 교사가 모국어나 외국어로 번역하기. 13. 받아쓰기: 학생이 구두로 제시된 텍스트를 쓰기. 14. 베껴쓰기: 학생이 시각적으로 제시된 텍스트를 쓰기. 15. 식별: 구체적 목표어의 어형, 기능, 정의 혹은 기타 수업 관련 항목을 집어내고, 산출/명명을 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식별하기. 16, 재인식: 식별(즉, 항목을 표시하거나 기호를 그리거나 그림을 재배치하기)에서처럼 학생이 어형을 식별은 하되 구두 반응은 하지 않는다. 17. 복습: 지난 주/달 혹은 다른 시간을 공식적 요약의 하나로 그리고 학생의 회상 수행 시험의 한 형태로 복습하기. 18. 시험: 학생의 진도를 평가하기 위해 하는 공식적인 시험 절차들. 19. 유의미적 훈련: 상이한 정보를 가리키는 경우처럼 유의미한 선택을 하면서 응답을 하는 훈련 활동. 응답이 규제된 순서를 따르는 것과 응답의 일반적인 형태에 의해 정보 교환(information exchange)과는 구별된다. |
반 통제적 기법 (semicontrolled techniques) 20. 브레인스토밍: 특별한 형태의 수업 준비로 상황 설정과 마찬가지로 학생과 교사가 주어진 화제에 관해서 자유롭고 감독 받지 않은 공헌을 하는 데 다수의 연상들을 서로 연결하지 않고 창출해낸다. 교사가 명시적으로 분석하거나 해설하지 않는다. 21. 이야기하기(특히 학생이 창출해낸 이야기): 꼭 수업에 기반을 둘 필요는 없이 교사나 학생이 긴 이야기를 제시하는 것(준비 활동이나 이야기 암송과 중복될 수 있다). 관심 및 동기를 유지하게 하거나길이가 긴 연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2. 참조형 질의·응답: 참조형 질문에 의해서 응답을 구하는 활동(가령, 참조형 질문은 질문자가 응답에 담긴 정보를 사전에 알지 못하는 질문이다). 전시형 질의응답과 구별된다. 23. 제시어에 의한 이야기/대화: 이야기/대화와 관련된 제시어를 무언극 제시어 카드, 그림 혹은 다른 자극물(예를 들어, 기능적 행위를 요청하는 메타 언어)로부터 받아서 학생이 이야기나 대화를 산출하는 것. 24. 정보 전이: 하나의 모드(예, 시각)에서 다른 모드(예, 쓰기)로 적용하는 것으로 다소간 정보의 변환(예를 들어, 학생이 어떤 묘사를 들으면서 표 그림을 완성하는 것)을 하는 것. 학생이 정보를 변환하고 재해석을 한다는 점에서 식별과 구별된다. 25. 정보 교환: 정보차 연습에서처럼 양방향 의사소통을 하는 활동으로 일방이나 쌍방이 (혹은 보다 큰집단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정보의 공유가 과업 수행에 결정적이라는 점에서 참조형 질의응답과 구별이 된다. 26. 마무리 요약: 지금까지 연습했거나 학습한 논점 및 항목을 교사나 학생이 요약하는 것.27. 이야기/논설: 이전의 자극에서 도출된 이야기나 설명을 제시하는 것. 즉각적인 자극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제시어에 의한 이야기와 구별된다. 28. 준비: 학생의 공부, 묵독, 짝끼리의 계획과 예행연습, 추후의 활동에 대한 준비. 대개 학생 지시적이거나 학생 지향적 프로젝트이다. |
자유 기법 (free techniques) 29. 역할극: 특정 역할이나 기능을 비교적 자유롭게 연기해내는 것. 제시어가 처음 시작할 때만 최소한으로 주어지고 활동 도중에는 주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제시어에 의한 대화와 구별된다.30. 게임: 이전에 정의된 다른 활동과는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언어 게임 활동(예, 단어를 만드는 말판과주사위 게임). 31. 보고: 책, 경험, 프로젝트 작업 등에 관해 준비된 학생의 구두 논설 보고로 즉각적인 자극이 없이 학생의 흥미에 따라서 노력을 한 것이다. 쓰기 모드의 작문과 유사하다. 32. 문제 해결: 특정한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할 제한된 수단을 포함하는 활동, 소집단 혹은 보다 큰 집단의 협동이 요구된다. 33. 드라마: 극본, 촌극 이야기 등을 계획적으로 극화한 것. 34. 시뮬레이션: 실생활의 행동과 경험의 모의 상황을 토대로 집단이나 개인 간에 복잡한 상호작용을 하는 활동. 35. 면접: 한 학생에게 다른 한 명 혹은 여러 학생들로부터 정보를 얻어내도록 지시한다. 36. 토의: 특정 화제에 대한 토론이나 기타 형태의 단체 토의로 미리 입장이나 편을 가를 수도 있고 가르지 않을 수도 있다. 37. 작문: 보고(구두)에서와 같이 생각, 이야기 혹은 다른 논설을 글로 전개하는 것. 38. 적의성 활동: 실생활의 화제에 관해 교사, 학생들 혹은 심지어 방문자들이 회화를 하거나 다른 사회적인 성격을 지닌 상호작용/담화를 하는 것. 전형적으로 진정성이 있으며, 참된 기법이다. |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