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与跨文化交际
문화와 다문화 교류
◈ 跨文化交际与汉语第二语言教学;语言和非语言行为跨文化交际研究
상호문화 교류와 중국어 SLA 교수; 언어 및 비언어적 행위 다문화 교류 연구
◆ 跨文化交际与汉语第二语言教学
상호문화 교류와 SLA 중국어
1.交际的含义
교류의 의미
– “交际”一词在汉语中自古有之。
교류라는 단어는 중국어에 옛날부터 있었음
古时指接触往来:“际,接也。 交际谓人以礼仪币帛相交接也。
예전에는 접촉과 왕래를 뜻함, 예의, 화폐, 서로 교류 등
”(《辞源》),– 现代定义是“人与人之间的往来接触;社交”(《现代汉语词典》)。
현대적 정의는 사람 간의 왕래와 접촉(현대한어사전)
– 在跨文化交际学中,外语教学界和对外汉语教学界将英语的“ communication”译成“交际”。
상호문화 교류학에서, 외국어를 가르치는 학계와 대외 중국어권에서는 영어의 'communication'
汉语的“交际”与英语的“ communication”的基本含义是对应的,都有共同、共享和相互传递信息的含义。
중국어의 '교류'와 영어의 'communication'의 기본적 의미는 대응하는 것으로, 공통, 공유, 상호 전달, 메시지 전달의 의미
2.什么是“跨文化交际”
'상호문화교류'란 무엇인가
– “跨文化交际”指的是来自不同文化的人(在此主要指不同国家的人)之间的交际,
"상호문화 교류"는 문화가 다른 사람(주로 다른 나라 사람을 지칭)끼리의 교류에서 온 것
其主要特点是:文化不同,交际者的历史传统、 生活习性、 风俗习惯、 交际规则、 思维方式,乃至价值观念等各方面都会有所不同。
그 주요 특징: 다른 문화, 교류자의 역사적 전통, 생활습성, 풍속 습관, 교제 규칙, 사고방식, 나아가 가치 관념까지 모든 면에서 다름
这些方面所体现出的文化差异会造成跨文化交际中交际信息的失落、错位,甚至文化冲突,最终还可能导致跨文化交际的失败。
이러한 방면에서 나타난 문화적 차이는 문화 교류에서 교제 정보의 상실, 위치 어긋남, 심지어 문화적 충돌까지 초래하여 결국 다문화 교류의 실패를 초래할 수도 있음
3.跨文化交际学的兴起与引进
상호문화교류학의 대두와 도입
– 跨文化交际学兴起于美国,美国人类学家霍尔( Edward T. Hall) 是跨文化交际学的奠基人。
상호문화 교류학은 미국에서 시작, 미국인류학자 홀(Edward T. Hall)은 상호문화 교류학의 창시자
霍尔在1959年出版的The Silent Language(《无声的语言》) 的序言中提出了两个名称: intercultural communication和cross-cultural communication,二者含义相同。
홀은 1959년 출간된 The Silent Language(소리 없는 언어)의 서문에서 intercultural communication과 cross-cultural communication이라는 두 가지 이름을 제시
4.跨文化交际与同文化交际的区别
상호문화 교류와 같은 문화 교류의 구별
– 跨文化交际指的是来自不同文化背景的人之间的交际,
다문화 교제는 서로 다른 문화의 배경의 사람 사이의 교류에서 오는 것을 말함
需要处理的是交际与文化之间的关系,解决的是跨文化语境( cross-cultural context/setting) 中的问题。
교류와 문화의 관계, 상호문화 언어 환경에서 나오는 문제 해결이 필요
跨文化交际是在观念和信号系统不同的人群之间的交际,文化差异会导致交际信息的失落、误解,甚至文化冲突。
상호문화 교류는 관념과 신호 시스템이 다른 사람들끼리의 교류로, 문화적 차이는 교류 정보의 상실, 오해, 심지어 문화적 충돌까지 초래
此有彼无和此无彼有的信息就容易失落,交际规则、思维方式和价值观念不同的信息就容易产生文化误解,甚至文化冲突。
이런저런 정보가 없어서 쉽게 소실되며, 교제 규칙, 사고방식, 가치 관념이 다른 정보문화적 오해, 심지어 문화적 충돌도 일어나기 쉬움
5.跨文化交际学与第二语言教学
상호문화 교류학과 SLA
(1) 研究语言与文化之间关系的几个学科
언어와 문화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몇 개 학과
• 当前,在我国第二语言教学界研究语言与文化之间的关系的有数个学科,包括文化语言学、国情(国俗)语义学、语用学、对比语言学、跨文化交际学等。
현재 중국 SLA 교육계에서 언어와 문화 사이의 관계 몇 가지 과목을 연구하고 있으며, 문화언어학, 국정(국속) 어의학, 어용학, 대비언어학, 상호문화교류학 등이 있음
(2) 跨文化交际学与第二语言教学之间的关系
상호문화 교류학과 SLA의 관계
– 跨文化交际学与第二语言教学之间的关系主要体现在三个方面: 第二语言教学的目标、关键和方法。
싱호문화 교류학과 SLA 교육 사이의 관계는 주로 세 가지 측면의 구현: SLA의 목표, 관건, 방법
– 第二语言教学的主要目标是培养学生的跨文化交际能力
SLA의 주요 목표는 학생들의 상호문화교류 능력 배양
– 跨文化交际能力指的是跨文化交际环境中的交际能力,
상호문화교류 능력은 상호문화 교류 환경에서의 교제 능력
即来自不同文化背景的人之间进行交际时具有强烈的跨文化意识、善于识别文化差异和排除文化干扰,并且成功地进行交际的能力。
즉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에서 온 사람들끼리 교류할 때 강한 상호문화 의식을 가지고, 문화적 차이를 잘 인식하고, 교란을 배제하며, 성공적으로 교류하는 것
– 跨文化交际能力的组成部分:跨文化交际能力是由语言交际能力、非语言交际能力、语言规则与交际规则的转化能力以及跨文化适应能力组成的综合能力。
싱호문화 교류 능력의 구성 부분: 상호문화 교류 능력은 언어교류능력, 비언어교류능력, 언어규칙과 교제규칙의 전환능력, 상호문화 적응능력으로 이루어진 통합 능력
– 语言交际能力: 不仅指必须掌握的语音、词汇和语法知识,还包括对语言的概念意义和文化内涵意义的了
解与运用能力。
– 언어 교류 능력: 반드시 알아야 할 음성,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적 지식, 언어에 대한 개념적 의미와 문화적 함의적 의미도 포함
– 非语言交际能力: 包括体态语( body language)、 副语言( paralanguage)、 客体语 ( object language)和环境语( environmental language)。
비언어 교류 능력: 바디랭귀지, 부언어, 객체어와 환경어
– 语言规则和交际规则的转化能力( Competence of Transformation of Two Rules) : 处理的是跨越文
化的交际中正确而又得体地应对风俗习惯、行为 规范、交际准则、思维方式、价值观念等诸多方 面的文化差异的干扰和文化冲突的问题。
언어 규칙과 교류 규칙 전환 능력 : 텍스트 처리 교류 중에 정확하고 적절하게 풍속 습관과 행위 규범에 대응, 교류 기준, 사고방식, 가치관 등 여러 방면의 문화 차이의 방해와 문화충돌의 문제
▶ 第二语言教学中需要处理好三种关系:
SLA는 세 가지 관계를 잘 다루어야 함:
– 课堂教学与课外交际之间的关系
교실에서의 수업과 수업 사이의 관계
– 第二语言教学与第二文化教学之间的关系
SLA와 문화교육과의 관계
– 培养学生与不同文化的人进行交际的能力
학생이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과 교제하는 능력 배양
'중국어 > 중국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용학의 연구 대상 (0) | 2023.04.21 |
---|---|
언어와 비언어 (0) | 2023.04.20 |
한중 주요 문화 풍속 (0) | 2023.04.18 |
세계 주요 문화 풍속 (2) | 2023.04.17 |
해외 사회 가치관 비교 (0)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