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TBP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by 피글릿 2022. 5. 11.
728x90
반응형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CLT)

▶ 이전 교수법 이론

1940년대, 1950년대
- 교사가 과학적으로 배열한 언어 구조들을 조건화

- 학습자의 머릿속에 행동주의적으로 프로그래밍

1960년대
- Chomsky의 생성문법을 언어 교실에 맞추기

- 언어의 인지적 기호(cognitive code)를 흡수 과정에 어떻게 투입할지 고려

1970년대
- 정의적 요인이 언어 교수법 전면으로 부상

- 학습자 내부에서 작동하는 정서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기
- 교실에서 포함시켜야 할 언어 기능들을 보다 잘 이해

- 의사소통적 접근법이라고 인식하는 접근법이 나옴

1980년대 말, 1990년대
- 언어가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적인 속성들을 강조하는 접근법 발달

- 교실은 진정성(authenticity), 실제 세상의 모방, 의미 있는 과업들로 특성화
현재
- 문법적, 담화적 요소를 넘어 언어의 사회적, 문화적, 화용적 자질 탐색

- 교실에서 실제 의사소통을 교육적으로 구현하는 수단탐색

- 정확성과 유창성을 배양

- '바깥 세상'으로 나갔을 때 연습하지 않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

- 교실의 과업 뿐만 아니라, 평생 언어 학습을 촉진할 방법에 관심

- 학습자들을 협동적인 사업의 파트너로 간주

- 교실 수업은 학습자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수 있도록 자극하는 내재적인 특성이 있다면 뭐든지 활용

 

 


▶ CLT 접근법의 특징

 1. 전반적 목표
- 의사소통 능력의 모든 구성 요소(문법적, 담화적, 기능적, 사회언어학적, 책략적 요소)에 초점

- 목표는 따라서 언어의 구조적(문법적, 담화적)인면과 화용적(기능적, 사회언어학적, 책략적)인 면이 서로 섞임

 2. 형태와 기능간의 관계
- 언어 교수기법은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용적이고, 진정성이 있고, 기능적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데 참여시키도록 설계

- 언어 조직형태들은 관심의 중심은 아니나 그런 목적들을 달성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

 3. 유창성과 정확성
- 학생들이 이해와 표현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표현의 형태적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의사소통적의 상호 보완적인 원리

- 학습자가 의미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하기위해 유창성이 중요 

- 학생들에게 정확함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권장

- 학습자의 오류에 적절한 피드백은 교사의 책임
 
 4. 현실 세계의 맥락에 초점
- 의사소통적 수업을 받은 학생은 교실 밖 상황에서도 배운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줄 알아야 함

- 교실에서 하는 과업은 그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

 5. 자율성과 책략의 활용
-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주의를 집중할 기회를 얻음

- 자신의 학습 유형(장단점, 선호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표현과 이해를 위한 적절한 책략을 발달시킴

- 교실 밖이나 과정이 끝난 후에도 계속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자율적인 학습자로 만드는 걸 도움

 6. 교사의 역할
- 교사의 역할은 촉진자, 안내자의 역할

- 모든 것을 아는 역할은 아님

- 교사는 학생의 언어적 발달을 높이 평가하는 이해심 있는 '코치'

- 학생은 다른 학생이나 교사와 더불어 진정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의미 있는 말을 만들어 내도록 권장
 
 7. 학생의 역할
- 자신의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람

- 학습자 중심, 협동학습, 공동학습이 강조되나 적절 한 교사 중심 활동을 희생하면서까지는 아님

728x90
반응형

 

 


▶ 위의 일곱 가지의 특성들이 이전의 방법 및 접근법과 다른 점과 주요한 점

 

- 그동안 구조적(문법적)으로 순서를 정한 교육과정은 여러 세기 동안 언어 교육의 트렌드

- CLT는 문법적 구조를 다양한 화용적 범주 아래에 넣는 것이 나을지도 모른다는 제안

- 전통적인 방법보다는 문법적 규칙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거나 논하는 데 적은 관심

- 유창성을 기르려고 하기 때문에 진정성 있는 언어를 많이 사용

- 과거보다 훨씬 많은 자발적인 참여

- 학생들은 교사의 통제가 아니라 안내 하에 미리 연습하지 않은 상황을 다루도록 격려

- 학습자가 습득을 위한 책략적인 접근법을 개발하는 것 중시

- 처음으로 책략 지도를 대두시킴

- 촉진자로서의 교사 역할

- 공동 작업자로서의 학생 역할

 

 


▶ CLT의 활용성

 

- L2에 별로 유창하지 못할지도 모르는 비원어민 교사가 효과적인 교육을 하기 어려움

- 기술의 발달(비디오, TV, CD, 인터넷, 웹, 소프트웨어 등)이 교사들을 도울 수 있음

- 여러 나라의 교육기관이나 정치적인 기관들이 의사소통 목적으로 L2를 가르치는 중요성에 대해 인식

- 세계적으로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의 목적을 더 잘 달성할 수 있게 됨

 

 


▶ CLT와 Army Method

 

-  CLT는 25년 전에 Finocchiaro와 Brumfit(1983)이 청화식 교수법을 의사소통적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이라고 불렀던 것과 비교하면서 제시한 것


1. CLT의 원리들(협동 학습, 상호작용적 교수, 학습자 중심 수업, 내용 중심 교육, 총체적 언어 등)에 대해 언급하나 실제로 교수기법들을 그런 원리에 토대를 두지 않는데 경계(Kramsch, 2006). 

2. CLT의 자질 중 어떤 특정한 것들을 과용하지 않도록 함

3. CLT에 대한 해석이 분분함을 기억

 


청화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의 비교 (Finocchiaroe Brumfit, 1983)

청화식교수법 의사소통적 접근법

1. 의미보다는 구조와 형태에 관심

 의미가 최고 중요

2. 구조 중심의 대화를 보다 많이 암기할 것을 요구

 대화가 사용된다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고, 꼭 암기해야 하는 것은 아님

3. 언어 항목들이 반드시 맥락속에서 주어져야 하는것은 아님

 맥락을 제공하는 것은 기본 전제

4.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구조, 소리, 단어를 배우는 것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의사소통 하는 법을 배우는 것

5.
완전 학습 혹은 “과잉 학습”을 모색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모색

6. 훈련은 핵심적인 교수기법

 훈련이 있을 수는 있으나, 주변적인 것

7. 원어민과 같은 발음에 도달 

 이해 가능한 발음에 도달

8. 문법 설명은 피함

 학습자를 돕는 것이면 어떤 장치라도 용납 

9. 의사소통 활동은 엄격한 훈련과 연습을 오랜 거친 후에 함

 의사소통을 하려는 시도를 초기부터 장려

10. 학생들의 모국어 사용은 금지

 가능한 경우에는 모국어의 분별 있는 사용이 용납

11. 초급 수준에서는 번역을 금지 

 학생들이 필요하거나 도움을 얻을 경우에는 번역을 사용

12. 말하기가 완전 학습될 때까지 읽기와 쓰기를 미룸

요구된다면 첫 날부터도 읽기와 쓰기를 시작

13. 목표어의 체계는 그 체계의 패턴들에 대해 명시적으로 가르쳐서 학습
 목표어의 체계는 의사소통을 하려고 애를 쓰는 동안에 학습

14. 언어적인 능력이 요망되는 목표

 의사소통 능력이 요망되는 목표

15. 언어의 다양성이 인식은 되지만 강조되지는 않음

 언어적 변이가 교육 자료와 교수법에서 핵심 개념

16. 
단원의 순서는 오직 언어적 복잡성 원리에 의해서 결정
 흥미를 유지시키는 내용 기능이나 의미의 고려라면 어떤 것이라도 순서를 결정

17. 
교사가 학습자를 통제하고, 교육이론과 상치되는 행동을 못하도록 막음

 교사는 학습자가 언어를 가지고 행동하도록 동기 유발을 하는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도움

18.  
언어는 습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오류를 막음
 
 개별 학습자는 가끔 시행착오를 통하여 언어를 만들어 냄

19. 형태적 정확성이라는 의미로 정확성이 일차적인 목표

 유창성과 수용할 만한 수준의 언어가 일차적인 목표
 정확성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맥락에서 판단

20.
학생들에게 기계나 통제된 교육자료에 구현된 언어 체계와 상호작용하도록 기대

학생들에게 짝 활동이나 모둠 활동을 통하여 육성이나 혹은 문자로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도록 기대

21. 교사에게 학생들이 사용하게 될 언어를 명시하도록 기대

교사는 학생들이 어떤 언어를 사용할지 정확히 알 수 없음

22. 내적 동기가 언어 구조에 대한 흥미에서 나오게 됨

내적 동기는 언어를 통하여 의사소통되는 내용에 대한 흥미에서 나옴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