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CLT)
▶ 이전 교수법 이론
1940년대, 1950년대 | - 교사가 과학적으로 배열한 언어 구조들을 조건화 - 학습자의 머릿속에 행동주의적으로 프로그래밍 |
1960년대 | - Chomsky의 생성문법을 언어 교실에 맞추기 - 언어의 인지적 기호(cognitive code)를 흡수 과정에 어떻게 투입할지 고려 |
1970년대 | - 정의적 요인이 언어 교수법 전면으로 부상 - 학습자 내부에서 작동하는 정서적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 |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기 | - 교실에서 포함시켜야 할 언어 기능들을 보다 잘 이해 - 의사소통적 접근법이라고 인식하는 접근법이 나옴 |
1980년대 말, 1990년대 | - 언어가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적인 속성들을 강조하는 접근법 발달 - 교실은 진정성(authenticity), 실제 세상의 모방, 의미 있는 과업들로 특성화 |
현재 | - 문법적, 담화적 요소를 넘어 언어의 사회적, 문화적, 화용적 자질 탐색 - 교실에서 실제 의사소통을 교육적으로 구현하는 수단탐색 - 정확성과 유창성을 배양 - '바깥 세상'으로 나갔을 때 연습하지 않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 - 교실의 과업 뿐만 아니라, 평생 언어 학습을 촉진할 방법에 관심 - 학습자들을 협동적인 사업의 파트너로 간주 - 교실 수업은 학습자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수 있도록 자극하는 내재적인 특성이 있다면 뭐든지 활용 |
▶ CLT 접근법의 특징
1. 전반적 목표 | - 의사소통 능력의 모든 구성 요소(문법적, 담화적, 기능적, 사회언어학적, 책략적 요소)에 초점 - 목표는 따라서 언어의 구조적(문법적, 담화적)인면과 화용적(기능적, 사회언어학적, 책략적)인 면이 서로 섞임 |
2. 형태와 기능간의 관계 | - 언어 교수기법은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용적이고, 진정성이 있고, 기능적으로 언어를 사용하는 데 참여시키도록 설계 - 언어 조직형태들은 관심의 중심은 아니나 그런 목적들을 달성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 |
3. 유창성과 정확성 | - 학생들이 이해와 표현이 자연스럽게 '흐르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과 표현의 형태적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의사소통적의 상호 보완적인 원리 - 학습자가 의미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하기위해 유창성이 중요 - 학생들에게 정확함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권장 - 학습자의 오류에 적절한 피드백은 교사의 책임 |
4. 현실 세계의 맥락에 초점 | - 의사소통적 수업을 받은 학생은 교실 밖 상황에서도 배운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줄 알아야 함 - 교실에서 하는 과업은 그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 |
5. 자율성과 책략의 활용 | -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과정에 주의를 집중할 기회를 얻음 - 자신의 학습 유형(장단점, 선호하는 것)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표현과 이해를 위한 적절한 책략을 발달시킴 - 교실 밖이나 과정이 끝난 후에도 계속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자율적인 학습자로 만드는 걸 도움 |
6. 교사의 역할 | - 교사의 역할은 촉진자, 안내자의 역할 - 모든 것을 아는 역할은 아님 - 교사는 학생의 언어적 발달을 높이 평가하는 이해심 있는 '코치' - 학생은 다른 학생이나 교사와 더불어 진정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의미 있는 말을 만들어 내도록 권장 |
7. 학생의 역할 | - 자신의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람 - 학습자 중심, 협동학습, 공동학습이 강조되나 적절 한 교사 중심 활동을 희생하면서까지는 아님 |
▶ 위의 일곱 가지의 특성들이 이전의 방법 및 접근법과 다른 점과 주요한 점
- 그동안 구조적(문법적)으로 순서를 정한 교육과정은 여러 세기 동안 언어 교육의 트렌드
- CLT는 문법적 구조를 다양한 화용적 범주 아래에 넣는 것이 나을지도 모른다는 제안
- 전통적인 방법보다는 문법적 규칙을 명시적으로 제시하거나 논하는 데 적은 관심
- 유창성을 기르려고 하기 때문에 진정성 있는 언어를 많이 사용
- 과거보다 훨씬 많은 자발적인 참여
- 학생들은 교사의 통제가 아니라 안내 하에 미리 연습하지 않은 상황을 다루도록 격려
- 학습자가 습득을 위한 책략적인 접근법을 개발하는 것 중시
- 처음으로 책략 지도를 대두시킴
- 촉진자로서의 교사 역할
- 공동 작업자로서의 학생 역할
▶ CLT의 활용성
- L2에 별로 유창하지 못할지도 모르는 비원어민 교사가 효과적인 교육을 하기 어려움
- 기술의 발달(비디오, TV, CD, 인터넷, 웹, 소프트웨어 등)이 교사들을 도울 수 있음
- 여러 나라의 교육기관이나 정치적인 기관들이 의사소통 목적으로 L2를 가르치는 중요성에 대해 인식
- 세계적으로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의 목적을 더 잘 달성할 수 있게 됨
▶ CLT와 Army Method
- CLT는 25년 전에 Finocchiaro와 Brumfit(1983)이 청화식 교수법을 의사소통적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이라고 불렀던 것과 비교하면서 제시한 것
1. CLT의 원리들(협동 학습, 상호작용적 교수, 학습자 중심 수업, 내용 중심 교육, 총체적 언어 등)에 대해 언급하나 실제로 교수기법들을 그런 원리에 토대를 두지 않는데 경계(Kramsch, 2006).
2. CLT의 자질 중 어떤 특정한 것들을 과용하지 않도록 함
3. CLT에 대한 해석이 분분함을 기억
청화식 교수법과 의사소통 중심 언어 지도의 비교 (Finocchiaroe Brumfit, 1983)
청화식교수법 | 의사소통적 접근법 |
1. 의미보다는 구조와 형태에 관심 |
의미가 최고 중요 |
2. 구조 중심의 대화를 보다 많이 암기할 것을 요구 |
대화가 사용된다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하고, 꼭 암기해야 하는 것은 아님 |
3. 언어 항목들이 반드시 맥락속에서 주어져야 하는것은 아님 |
맥락을 제공하는 것은 기본 전제 |
4.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구조, 소리, 단어를 배우는 것 |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의사소통 하는 법을 배우는 것 |
5. 완전 학습 혹은 “과잉 학습”을 모색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모색 |
6. 훈련은 핵심적인 교수기법 |
훈련이 있을 수는 있으나, 주변적인 것 |
7. 원어민과 같은 발음에 도달 |
이해 가능한 발음에 도달 |
8. 문법 설명은 피함 |
학습자를 돕는 것이면 어떤 장치라도 용납 |
9. 의사소통 활동은 엄격한 훈련과 연습을 오랜 거친 후에 함 |
의사소통을 하려는 시도를 초기부터 장려 |
10. 학생들의 모국어 사용은 금지 |
가능한 경우에는 모국어의 분별 있는 사용이 용납 |
11. 초급 수준에서는 번역을 금지 |
학생들이 필요하거나 도움을 얻을 경우에는 번역을 사용 |
12. 말하기가 완전 학습될 때까지 읽기와 쓰기를 미룸 |
요구된다면 첫 날부터도 읽기와 쓰기를 시작 |
13. 목표어의 체계는 그 체계의 패턴들에 대해 명시적으로 가르쳐서 학습 |
목표어의 체계는 의사소통을 하려고 애를 쓰는 동안에 학습 |
14. 언어적인 능력이 요망되는 목표 |
의사소통 능력이 요망되는 목표 |
15. 언어의 다양성이 인식은 되지만 강조되지는 않음 |
언어적 변이가 교육 자료와 교수법에서 핵심 개념 |
16. 단원의 순서는 오직 언어적 복잡성 원리에 의해서 결정 |
흥미를 유지시키는 내용 기능이나 의미의 고려라면 어떤 것이라도 순서를 결정 |
17. 교사가 학습자를 통제하고, 교육이론과 상치되는 행동을 못하도록 막음 |
교사는 학습자가 언어를 가지고 행동하도록 동기 유발을 하는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도움 |
18. 언어는 습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오류를 막음 |
개별 학습자는 가끔 시행착오를 통하여 언어를 만들어 냄 |
19. 형태적 정확성이라는 의미로 정확성이 일차적인 목표 |
유창성과 수용할 만한 수준의 언어가 일차적인 목표 정확성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맥락에서 판단 |
20. 학생들에게 기계나 통제된 교육자료에 구현된 언어 체계와 상호작용하도록 기대 |
학생들에게 짝 활동이나 모둠 활동을 통하여 육성이나 혹은 문자로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도록 기대 |
21. 교사에게 학생들이 사용하게 될 언어를 명시하도록 기대 |
교사는 학생들이 어떤 언어를 사용할지 정확히 알 수 없음 |
22. 내적 동기가 언어 구조에 대한 흥미에서 나오게 됨 |
내적 동기는 언어를 통하여 의사소통되는 내용에 대한 흥미에서 나옴 |
'영어 > TB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자 중심 교수(learner-centered instruction) (0) | 2022.05.13 |
---|---|
과업 중심 언어지도(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0) | 2022.05.12 |
교수법 이후 시기(Post-method) (0) | 2022.05.10 |
1970년대의 '디자이너(designer)' 교수법 정리 (0) | 2022.05.09 |
기능 중심 교수요목(Functional Syllabus) (0) | 2022.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