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어/PLLT96

7장 - 사회적 거리 언어와 문화, 정체성 ◈ 문화간 연구에서의 역사적인 이정표 ▶ 사회적 거리 - 다양한 정도의 문화 적응을 설명하기 위한 정서적인 개념 - 한 개인 내에서 접촉하게 된 두 문화의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근접성 - John Schumann(1976c)은 사회적 거리를 묘사 1. 지배, 두 문화에 걸친 권력관계 2. 제2문화로의 통합이 가능한 정도 3. 문제가 되고 있는 두 문화의 동질성 ▶ Schumann - 위의 요소를 가설상으로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언어 학습 상황을 묘사하는 데 사용 - 만약 두 문화가 동질적이지 않다면, 서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문화 적응에 반하여 작용할 수 있음 - 긍정적인 언어 학습 상황은 L2 집단이 목표 언어 집단에 비해 덜 지배적 - 동화(혹은 적어도 순응)가 바람직하며, .. 2022. 10. 17.
7장 - 문화 적응과 문화 충격 언어와 문화, 정체성 ◈ 문화간 연구에서의 역사적인 이정표 ▶ 문화 적응과 문화 충격 - L2 학습은 거의 항상 정체성의 발달이라는 현상을 동반 - 새로운 정체성의 탄생은 문화 학습, 문화 적응(acculturation) 같은 것의 중심 - 어떤 L2 환경에서는 사고와 감정, 대화에 있어서 방향 전환(reorientation)이 필요 - LL2 학습자가 새 문화를 이해하려면 본래 있던 세계관, 정체성, 사고, 행동, 정서, 의사소통방식과 충돌 - 그런 분열이 심각할 경우 학습자는 문화 충격(culture shock)을 경험할 수 있음 - 문화 충격은 화, 적대감, 우유부단함, 좌절, 불행, 슬픔, 고독, 향수병, 신체적인 질병까지 겪게 할 수 있음 ▶ Edward Hall의 문화 충격 다른 나라를 방문하.. 2022. 10. 16.
7장 - 정체성과 언어 학습 언어와 문화, 정체성 ◈ 정체성과 언어 학습 - 정체성 이론은 L2 습득 연구에 있어서 뚜렷한 개념적 변화를 대표 - Lantolf와 Beckett(2009)의 연구 연대표에서 적절하게 언급되었듯 - Vygotsky(1962,1987)의 사회문화적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것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에서 눈에 띄는 개념은 인간의 정신 활동의 형태들이 중재가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와 다른 사람, 또는 우리와 우리 자신과의 관계를 중재하고 조정하기 위해서 상징적 도구나 표시를 사용한다”(James Lantolf, 2000, p. 80) - 언어는 물론, 우리가 그것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상징적 도구 - 성인들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들에게도 새로운 개념은 사회적이거나 상호작용적 .. 2022. 10. 16.
7장 - 실천공동체 언어와 문화, 정체성 ◈ 실천공동체 - McKay가 지적한 것처럼 세계화는 “세계와 지역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공간의 재형성" - John Donne(1624)이 말한, “그 누구도 섬에 혼자 살 수는 없다”는 사실의 방증 - 우리는 실제로 모두 “대륙의 한 조각” -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소통할 수 있는 미디어의 폭발적인 증가와 세계를 여행할 수 있게 된 용이함 - 그리고 한껏 고양된 국제적 의식의 환경 속에서 경험에 기반한 실증주의적 용어들을 통해 사회문화적인 변인들을 이해하기란 점점 더 어려워짐 ▶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 - L2 학습에 있어서 정체성의 문제를 좀 더 정확하게 연구하고자 한 실천공동체 - 실천공동체의 초기 개념이 L2 습득 연구에 .. 2022. 10. 15.
7장 - 언어와 사고, 문화 언어와 문화, 정체성 ◈ 언어와 사고, 문화 - 사회적인 교류에서 언어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것은 정체성을 확립하고 정의하는 것과 연관 - 어떠한 생각이나 주장이 말해지는 방식이 우리의 생각을 개념화한다는 것 역시 관찰됨(Boroditsky, 2011) - 만약에 언어가 지능이라면 지적 능력은 언어적 독립체에 의해 틀이 구성되고 만들어지며 조직화됨 - 많은 아이디어와 문제, 발명, 발견 등은 새로운 언어의 필요성을 창조 ▶ 우리의 개념적 세계를 구성하기 - 단어는 우리의 일상을 만듦 - Lakoff(2004) 구성하기(framing)은 생각하는 방식을 만드는데 언어적 표식(label)의 중요성을 알려 줌 - 광고업계는 바로 언어가 영향을 미치고, 설득하고, 만류하는 데에 사용되는 주요한 예 - 완곡 어구(.. 2022. 10. 14.
7장 - 언어 상대성 언어와 문화, 정체성 ◈ 언어 상대성 - 초기에 언어가 “사고의 주조자”라는 입장을 옹호하던 사람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오늘날 언어 결정론(linguistic determinism)이라고 불리는 것에 대해 강력한 주장을 편 Benjamin Whorf(1956, pp. 212-213) “각 언어의 배경 언어 지식(다시 말해, 문법)은 사고를 밖으로 표출하는 재생 도구일 뿐만 아니라 그것 자체가 개인의 정신적인 활동을 위한 사고의 주조자이며, 프로그램인 동시에 안내자이다.” “우리는 세계를 우리의 모국어에 기반하여 자세히 분석한다. 우리는 세계를 잘게 자르기도 하고, 그것을 개념들로 조직하기도 하며, 그렇게 하면서 중요성을 부여하기도 하는데, 이는 대부분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패턴 때문이다” - 워피안.. 2022. 10. 14.
7장 - 고정관념 언어와 문화, 정체성 ◈ 고정관념 ▶어떻게 해서 고정관념은 만들어지는가? - 서로 다른 세계관을 인정하고 이해한다면 그들은 대개 문화 간 차이에 대해서 긍정적이고 열린 마음을 가진 태도 - 차이에 대한 편협한 관점은 지나치게 단순화되고 포괄적인 가정인 고정관념(stereotype)을 초래 - 고정관념은 전적으로 개인이 가진 문화적 소속감(membership)에만 기초하여 집단의 특성을 개인에게 부여 - 고정관념은 거의 언제나 특정 문화에 속한 특정 개인을 묘사하는 것이 부정확 - 이것은 단지 문화의 역동적이고 맥락화 된 속성 때문 - 특정 문화의 한 개인을 그 문화가 가진 전반적인 특징들로 판단하는 것은 그 사람을 성급하게 판단하는 것 - 그 사람을 잘못 판단하는 것이기도 함 - 더 나쁜 것은, 고정관념.. 2022. 10. 13.
7장 - 문화적 범주 언어와 문화, 정체성 ◈ 문화적 범주 - 수세기 동안 사회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은 전 세계 “인종들”을 다양한 렌즈를 통해서 연구 - 전통적인 접근법들은 공동체의 신념, 가족 구성원 간의 행위, 종교, 규율, 예술, 언어, 그 밖의 많은 것들에 대해 연구 ▶ 다음 문화적 범주들은 수십 년에 걸친 연구들의 혼합물(Hall, 1966;Triandis, 1972; Hofstede, 1986; Buckley, 2000; Carpenter, 2000; Matsumoto, 2000;Matsumoto & Juang, 2013) ① 개인주의(대 집단주의) - 특정 문화가 집단에 대비하여 자아의 요구(needs)를 얼마만큼 가치 있게 여기는지에 대한 정도 - 개인주의적 문화에서는 개인적인 요구가 다른 이들의 그것보다 앞서게.. 2022. 10. 12.
7장 - 언어와 문화, 정체성 언어와 문화, 정체성 ◈ 문화 정의하기 - 문화(culture)는 삶의 방식 - 그 속에서 존재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 맺음을 하는 환경 - 한 집단의 사람들을 함께 묶어 주는 “접착제(glue)” - 문화는 우리의 대륙이자 우리의 집단 정체성 - 문화는 공동체 내에서 사람들의 행동을 안내해 주는 “청사진” - 가족생활의 바탕이 되며, 집단 내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 -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무엇을 기대하는지 - 그리고 그러한 기대에 부응해서 살지 않았을 때의 결과를 우리가 알게끔 도와줌(Larson & Smalley, 1972) - 문화는 특정 기간에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특징짓는 사고, 관습, 기술, 문화, 그리고 도구 ▶ Matsumoto에 따르면 문화는 명시적으로 그리고 암시.. 2022. 10. 11.
6장 - 정서의 신경생물학 ▣ 정서의 신경생물학 - 20세기 말 두뇌에 대한 연구는 양전자 방출 단층 X선 사진법(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자기 공명 촬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과 같은 기법을 통해 눈부신 발전 - 이러한 기법들을 사용하여 정서성(affectivity)과 신경 처리 과정 간의 연관성이 두뇌의 가소성, 정서, 기억과 학습 등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음 ▶ John Schumann(1977, 1988, 1999; Schumann & Wood, 2004) - 두뇌의 측두엽에 있는 한 부분 편도핵(amygdala)이 언어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정서에 관여한다고 지목 - 편도핵은 어떤 자극을 판단하는 인간의 능력에서 긴요 ▶ Sch.. 2022. 10.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