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교육심리학

인간의 이해 - 성선설

by 피글릿 2023. 3. 7.
728x90
반응형

인간의 이해: 인간의 본질을 둘러싼 거대한 논쟁

수 세기 동안 인류는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에 빠져 있었습니다. 인간에 관한 경험과학적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전, 철학자와 사상가는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며 크게 세 가지로 요약했습니다. 첫째는 성악설, 둘째는 성선설, 셋째는 백지설입니다.

 

 

성선설
인간의 본성을 선하게 보려는 성선설은 성악설과 대립되는 주장입니다. 중국의 저명한 철학자인 맹자와 고자는 인간의 본질을 두고 논쟁을 벌였습니다. 맹자는 성선설을 주장했고, 고자는 '인간의 본성은 물과 같아서 흘러가는 대로 흘러간다'라는 백지설을 주장했습니다.


고자는 인간의 본성은 물과 같아서 선악을 구분하지 않고 밀려오는 대로 흘러가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간의 본성을 물의 흐름에 비유하며, 물에 동서의 구분이 없듯이 인간의 본성에도 선악의 구분이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맹자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맹자는 말합니다.

 

 

"물에는 동서의 구분이 없지만, 상하의 구분도 없겠는가? 인간의 본성에 있어서 선이란 물이 흘러내리는 것과 같으니. 흘러내리지 않는 물이 없듯이 선하지 않은 인간은 없다네. 물이 그 본성을 거스르고 강제로 흘러내리는 것이 어찌 물의 본성이겠는가? 외부의 힘으로 그렇게 되는 것이라네. 자연의 길을 거스르도록 강요받는 물을 불쌍히 여기는 것처럼, 타고난 선에서 벗어난 사람을 불쌍히 여길 줄 알아야 하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을 선을 향해 흐르는 강물에 비유했는데, 외부의 힘에 의해 선에서 벗어날 수도 있고, 일탈할 수 있으니, 사회는 그 일탈한 자를 불쌍히 여겨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면 고자는 인간의 본성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선악에 대한 성향은 본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18세기에는 J.J. 루소(J.J. Rousseau)가 '에밀'에서 교육 사상으로 이 논쟁에 불을 지폈습니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순수하고, 깨끗하며,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지만, 주변 세계가 그것을 타락시킬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루소는 인간을 식물에 비유하며, 아이를 부드러운 손길로 인도하여 친절하고, 선하고, 민주적인 인간으로 성장시켜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루소는 인간의 본질적인 악을 부정하고 보다 인간다운 교육과 양육을 주장하여 서구 세계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루소는 전통적 신념에 도전하여 어린이는 사랑과 친절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며 보다 배려심 있는 인간관으로 가는 길을 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