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PLLT

10장 - 제2언어 습득의 여섯 가지 관점(인지주의 모형들)

by 피글릿 2022. 11. 17.
728x90
반응형

제2언어 습득의 다양한 관점 정리

◈ 제2언어 습득의 여섯 가지 관점

◆ 성숙 기반 접근법들

- 언어 습득, 특히 모국어 습득에 대한 최초의 주장들 가운데 하나는 언어 습득의 생득적 특징에 대한 것

- 이는 Chomsky(1964)와 McNeill(1966), 그리고 몇몇 다른 이들의 연구에서 제시

- 이들은 가상적인 언어 습득 장치의 제안을 통해,

- 모든 사람들은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을 할 수 있는 선천적인 능력을 갖고 태어난다고 주장

- L2 습득에 있어서도 성숙(maturation)에 기반한 주장들이 계속해서 나타남

 




▣ 입력 가설 Stephen Krashen(1977, 1981,1982, 1985, 1992, 1997)

▣ 인지주의 모형들
▶ 주의력 처리 모형

- 1960년대에는 인지 심리학 (Ausubel, 1968)

- 큰 각광을 받으며 행동주의의 많은 딜레마와 단점으로부터 교육심리학을 지켜낸 새 시대의 사고를 대표

- 인지주의 모형은 과거에도 그렇고 지금도 여전히 실증적이기보다는 비유적이긴 하지만

- 행동주의 모형의 범위를 넘어서는 의식적인 사고와 정신적 처리 과정

- 그리고 체계적인 저장과 검색의 과정을 설명하려  함 

- 난제들 가운데 하나로 있는 인지주의의 한 가지 영역은 의식(consciousness)에 대한 정의와 이해

- 이 문제를 인식한 Barry McLaughlin(McLaughlin 1978, 1987, 19906; McLaughlin, Rossman, & McLeod, 1983;McLeod & McLaughlin, 1986)

- L2 습득 연구자들의 관심을 의식에 대한 의미 없는 논쟁에서 인간 인지의 두 가지 특징으로 돌림

- 즉 통제적 처리과정과 자동적 처리과정

- 통제적 처리과정은 완전히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사람들(L2초보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 특징

- 학습되는 기술의 아주 일부 요소만 저장

- 반면 자동적 처리 과정은 (L2 고급 학습자) 좀 더 완성된 기술에 사용되는 것

- 이 과정에서는 사람의 뇌 속 하드 드라이브가 막대한 양의 정보를 동시 처리 

- 이 두 가지 처리 과정의 연속선 양 끝에는 주어진 과제에 대한 중점적(의도적, 명시적) 주의력과

- 주변적(우연적, 암시적) 주의력이 모두 나타남

- 우리가 갖는 주의력의 초점을 중심에 둘 수도 있고 그 주변에 둘 수도 있는 것

- 과업들에 주어지는 중점적 주의력과 주변적 주의력은 모두 매우 의식적일 수 있음(Hulstijn, 1990)

- L2 습득에서 중점적 주의력은 때로는 형태에 또 어떤 때는 의미에 주어짐

- 그러나 L2 습득에서 도달해야 할 중요한 단계는 바로 주변적으로는 형식에 주의력을 향하하며

- 동시에 의미에 집중하는 능력


▼ McLaughlin의 주의력 처리 모형의 실제 적용

처리 과정
1. 통제적/중점적 특정 문법 항목 설명하기
단어의 활용 예 제시하기
정형화된 루틴(prefabricated routine) 학습하기
교사 따라 하기
2. 통제적/주변적 간단한 인사하기
간단한 언어 게임 하기
암기한 루틴을 새로운 상황에서 사용하기
매우 제한된 대화 완성하기
3. 자동적/중점적 출력 감시하기
대화 중 형식에 짧게 주의력 집중하기
특정 키워드 찾기
동료 편집(peer editing)을 포함한 작문 편집하기
4. 자동적/주변적 개방형 그룹 활동 참가하기
훑어 읽기와 속독
자유 작문
자연스러운 연습 안 된 대화 참여하기 

 




▶ 암시적/명시적 처리

- McLaughlin의 모형에는 암시적 주의력과 명시적 주의력의 개념이 포함

- 언어학적 용어로 암시적 지식은 언어적 과업을 해결할 때 자동적이며, 즉각적으로 사용되는 정보

- 명시적 지식은 학습자들이 언어에 관하여 알고 있는 사실을 포함(J. N. Williams, 2009)

- 아이들은 언어의 음운적,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규칙을 암시적으로 학습

- 그 규칙들에 대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못함

- 암시적 처리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 그 언어 수행의 바탕이 되는 규칙을 말로 할 수는 없음

- Ellen Bialystok(1978, 1982, 1990a)과 RodEllis(1994a, 1997), Nick Ellis(1994, 2007b)는

- 암시적 처리와 명시적 처리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 

- 암시적/명시적 이분법을 바라보는 또 다른 방법은

- 언어 처리를 분석적인 지식과 비분석적인 지식으로 나누는 것

- 분석적 지식은 문법 위주의 연습에서처럼 언어학적 규칙과 사실을 말로 표현하는 것

- 반면 비분석적 지식은 암시적 학습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음

- 다른 용어들로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구분

- 의도적 학습과 우연적 학습(Gass & Selinker, 2001; N. Ellis, 2007b; Dörnyei, 2009)의 구분


- 명시적/암시적 지식의 개념은 수년 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 암시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의 정의에 대해서,

- 그리고 이러한 지식과 처리의 유형을 교실에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

- (Bialystok, 1990b; Hulstijn, 1990; Robinson,1994, 1995, 1997)

 

 

 


▶ 체계성과 변이성

- 중간언어의 체계성과 변이성(Preston & Bayley, 2009)

- 예측 가능한 습득의 순서와 오류의 유형, 학습자의 목표를 향한 발달 단계,

-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이성을 설명하기 위한 탐구는 대부분 인지주의의 틀 속에서 수행

- 중간언어의 체계성을 뒷받침해 주는 연구는 보편 문법의 증거와 변이적 언어 능력 모형(R.Ellis, 1994a)

- 다양한 모국어와 연령,

- 다양한 맥락의 언어 학습자들로부터 수집한 엄청난 양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짐

- 최근 들어서는 제2언어 습득 연구에서 체계성을 발견하려는 시도가 별로 중시되지 않았고,

- 대부분 정체성의 중요성(Morgan & Clarke, 2011), 상호작용(Young, 2011),

- 그리고 제2언어 습득의 “생태학”(Van Lier, 2011)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을 알 수 있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