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AT IS DISCOURSE ANALYSIS?
Discourse analysis is the examination of language use by members of a speech community. It involves looking at both language form and language function and includes the study of both spoken interaction and written texts. It identifies linguistic features that characterize different genre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hat aid in our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texts and types of talk. A discourse analysis of written texts might include a study of topic development and cohesion across the sentences, while an analysis of spoken language might focus on these aspects plus turn-taking practices, opening and closing sequences of social encounters, or narrative structure.
▶ 담화 분석이란 무엇인가?
담화 분석은 언어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한 언어 사용의 검토이다. 언어 형태와 언어 기능을 모두 살펴보는 것을 포함하며, 음성 상호작용과 서면 텍스트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 그것은 다른 장르를 특징짓는 언어학적 특징뿐만 아니라 다양한 텍스트와 대화의 유형에 대한 우리의 해석과 이해에 도움이 되는 사회 문화적 요소를 식별한다. 쓰인 텍스트의 담론 분석은 주제 개발과 문장 간의 응집력에 대한 연구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구어의 분석은 이러한 측면과 차례로 말을 주고받거나, 사회적인 만남에서 시작과 맺음의 순서, 서술 구조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포함할 수 있다.
* examination 조사, 검토, 검사
* looking at ~을 살펴보다, 검토하다, 생각하다
* identify (신원 등을) 확인하다, 식별하다
* linguistic 언어학의
* characterize ~의 특징이 되다
* interpretation 해석, 이해, 설명
* aspect 측면, 양상
* plus 플러스, 더하기, … 뿐만 아니라, … 도 또한
The study of discourse has developed in a variety of disciplines-sociolinguistics, anthropology, sociology, and social psychology. Thus, discourse analysis takes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nalytic approaches: speech act theory, interactional sociolinguistics, ethnography of communication, pragmatics, convers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Although each approach emphasizes different aspects of language use, they all view language as social interaction.
담론의 연구는 사회언어학, 인류학, 사회학, 사회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왔다. 따라서 담화 분석은 언어 행위 이론, 상호작용 사회언어학, 의사소통 민족학, 화용론, 대화 분석, 변화 분석 등 다양한 이론적 관점과 분석 접근법을 취한다. 비록 각각의 접근 방식이 언어 사용의 다른 측면을 강조하지만, 그들은 모두 언어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본다.
* sociolinguistics 사회언어학
* pragmatics 화용론
This digest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discourse analysi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t provides examples of how teachers can improve their teaching practices by investigating actual language use both in and out of the classroom, and how students can learn language through exposure to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이 요약은 제2외국어 교수와 학습에 담화 분석의 적용에 초점을 맞춘다. 교사들이 교실 안팎에서 실제 언어 사용을 조사함으로써 어떻게 교습을 개선할 수 있는지, 학생들이 다양한 유형의 담론에 노출되어 언어를 배울 수 있는지 예를 제시한다.
* digest 요약
* teaching practices 티칭 실습
▶ DISCOURSE ANALYSIS AND SECOND LANGUAGE TEACHING
Even with the most communicative approaches,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is limited in its ability to develop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target language. This is due to the restricted number of contact hours with the language; minimal opportunities for interacting with native speakers; and limited exposure to the variety of functions, genres, speech events, and discourse types that occur outside the classroom. Given the limited time available for students to practice the target language, teachers should maximize opportunities for student participation. Classroom research is one way for teachers to monitor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udents' output. By following a four-part process of Record-View-Transcribe-Analyze, second language teachers can use discourse analytic technique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patterns in their classrooms and to see how these patterns promote or hinder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practice the target language. This process allows language teachers to study their own teaching behavior--specifically, the frequency, distribution, and types of questions they use and their effect on students' responses.
▶ 담화 분석과 제2외국어 교육
제2외국어 교실은 가장 소통이 많은 접근법에도 불구하고 대상 언어로 학습자의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 이는 제한된 언어와의 접촉 시간, 원어민과의 상호 작용 기회 최소, 교실 밖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기능, 장르, 음성 이벤트 및 담화 유형에 대한 제한된 노출 때문이다. 학생들이 목표 언어를 연습할 수 있는 제한된 시간을 고려할 때, 교사들은 학생 참여의 기회를 극대화해야 한다. 교실 조사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산출물의 양과 질을 감시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기록-보기-기록-분석의 4부 과정을 따름으로써, 제2외국어 교사는 담화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교실에서 상호작용 패턴을 조사하고 이러한 패턴이 학습자가 목표 언어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어떻게 촉진하거나 방해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언어 교사들은 자신의 교육 행동, 특히 그들이 사용하는 문제의 빈도, 분포, 유형, 학생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할 수 있다.
* competence 능숙함, 능숙도, 역량
* Transcribe 기록하다
* hinder 저해하다, 방해하다
* specifically 분명히, 특별히, 구체적으로
"Step One": Videotape a complete lesson. Be sure to capture all of your questions and the students' responses. (Opportunities to speak the target language are often created by teachers' questions.)
"Step Two": Watch the videotape. As you watch it, think about the types of questions you asked. Look for recurring patterns in your questioning style and the impact it has on the students' responses.
"Step Three": Transcribe the lesson. A transcript will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types of questions in the data and to focus on specific questions and student responses.
"Step Four": Analyze the videotape and transcript. Why did you ask each question? What type of question was it--open (e.g., "What points do you think the author was making in the chapter you read yesterday?") or closed (e.g., "Did you like the chapter?")? Was the question effective in terms of your goals for teaching and learning? What effect did your questions have on the students'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 target language? How did the students respond to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Were you satisfied with their responses? Which questions elicited the most discussion from the students? Did the students ask any questions? Focusing on actual classroom interaction, teachers can investigate how one aspect of their teaching style affects students' opportunities for speaking the target language. They can then make changes that will allow students more practice with a wider variety of discourse types.
"1단계": 비디오테이프로 전체 수업을 녹화한다. 질문과 학생들의 답변을 모두 담아낸다. (목표 언어를 말할 수 있는 기회는 종종 선생님의 질문에 의해 만들어진다.)
"2단계" 비디오테이프를 본다. 보면서 어떤 질문을 했는지 생각 본다. 질문 스타일에서 반복되는 패턴과 이것이 학생들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3단계": 수업을 기록한다. 기록은 자료에서 문제 유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특정 문제와 학생 반응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4단계: 비디오테이프와 녹취록을 분석한다. 왜 그런 질문을 했나? 어떤 유형의 질문이었나? 첫 질문(예: "어제 읽었던 장에서 저자가 무엇이 요점이었다고 생각하나?") 또는 끝내기 질문(예: "챕터가 마음에 들었나?")이 티칭과 학습 목표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나? 당신의 질문은 학생들이 목표 언어를 연습할 수 있는 기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학생들은 다양한 유형의 질문에 어떻게 반응했나? 당신은 그들의 반응에 만족했나? 어떤 질문이 학생들의 토론을 가장 많이 이끌어냈나? 학생들이 어떤 질문 울 했나? 실제 교실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추면서, 교사들은 그들의 교육 방식의 한 측면이 학생들이 목표 언어를 말할 수 있는 기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그들은 학생들이 더 다양한 담화 유형으로 더 많은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화를 만들 수 있다.
* Be sure to 반드시~하다, 분명히 ~일 것이다
* Look for 찾다
* in terms 측면에서
Teachers can also use this process of Record-View-Transcribe-Analyze to study
communication patterns in different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student-to-student interactions during a paired role-play task and during a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Communicative activities are expected to promote interaction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talk.
Teachers are likely to discover that students produce different speech patterns in response to
different tasks. For example, a map activity is likely to elicit a series of questions and answers among participants, whereas a picture narration task requires a monologue
developed around a narrative format.
교사는 또한 이 녹화-보기-기록-분석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짝을 이룬 역할극 과제 중 및 소규모 그룹 협력 학습 활동 중 학생 간 상호 작용과 같은 다양한 교실 활동의 의사소통 패턴을 연구할 수 있다. 소통 활동은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학생들이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다른 과제에 대응하여 다른 언어 패턴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발견하기 쉽다. 예를 들어, 지도 활동은 참가자들 사이에서 일련의 질문과 답변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반면, 그림 서술 과제는 서술 형식을 중심으로 개발된 독백을 필요로 한다.
* in response to ~에 응하여
A discourse analysis of classroom interactions can also shed light on cross-cultural linguistic patterns that may be leading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For example, some speakers may engage in overlap, speaking while someone else is taking a turn-at-talk. For some linguistic groups, this discourse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a signal of engagement and involvement; however, other speakers may view it as an interruption and imposition on their speaking rights. Teachers can use the Record-View-Transcribe-Analyze technique to study cross-cultural interactions in their classrooms, helping students identify different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their potential for miscommunication.
교실 상호 작용에 대한 담론 분석은 또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양한 문화 간 언어 패턴을 밝혀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연사들은 다른 사람이 말을 전환하는 동안 말할 때 겹칠 수 있다. 일부 언어 그룹에게 이러한 담론 행동은 참여와 참여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지만, 다른 화자들은 그것을 그들의 발언권에 대한 방해와 강요로 볼 수 있다. 교사는 녹화-보기-기록-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교실에서 다양한 문화 간 상호작용을 연구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서로 다른 의사소통 전략과 잘못된 의사소통의 가능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shed light on ~을 비추다, 밝히다
* cross-cultural 여러 문화가 섞인
* be leading to 이어지다
* turn-at-talk 말을 전환하다
* imposition 부담
Although some variables of language learning are beyond the control of second
language teachers, discourse analysis can be a useful analytic tool for making informed
changes in instructional practices.
Mainstream teachers, especially those with second language learners, can also use this
technique to study classroom interactions in order to focus on the learning opportunities
available to students with limited English proficiency.
In fact, discourse analysis can be an integral part of a progra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all teachers that includes classroom based research,
with the overall aim of improving teaching (Johnson, 1995).
언어 학습의 일부 변수는 제2외국어 교사의 통제를 벗어나지만 담화 분석은 강의 실습에서 정보에 입각한 변화를 만드는 데 유용한 분석 도구가 될 수 있다. 주류 교사들, 특히 제2외국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또한 제한된 영어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학습 기회에 집중하기 위해 교실 상호 작용을 공부하는 데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사실 담화 분석은 강의실 기반 연구를 포함하는 모든 교사들을 위한 전박적인 목적을 가진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수 있다(존슨, 1995).
* variable 변동이 심한
* instructional practices 강의 실습, 교수 실제
* proficiency 숙달, 능숙, 능력
* integral 필수적인
* the overall aim of 전반적인 목적
▶ DISCOURSE ANALYSIS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Language learners face the monumental task of acquiring not only new vocabulary,
syntactic patterns, and phonology, but also discourse competence, sociolinguistic competence,
strategic competence, and interactional competence.
They need opportunities to investigate the systematicity of language at all linguistic levels, especially at the highest level. Without knowledge of and experience with the discourse and sociocultural patterns of the target language, second language learners are likely to rely on the strategies and expectations acquired as part of their first language development, which may be inappropriate for the second language setting and may lead to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misunderstandings.
▶ 담화 분석 및 제2언어 학습
언어 학습자들은 새로운 어휘, 통사 패턴, 음운론뿐만 아니라 담화 역량, 사회 언어적 역량, 전략적 역량, 상호작용 역량까지 습득해야 하는 기념비적인 과제에 직면한다. 그들은 모든 언어 수준에서, 특히 가장 높은 수준에서 언어의 체계성을 조사할 기회가 필요하다. 대상 언어의 담론과 사회문화적 패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없다면, 제2언어 학습자들은 제1언어 개발의 일부로 습득한 전략과 기대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것은 제2언어 설정에 부적절할 수 있고 의사소통 어려움과 미수로 이어질 수 있다.
* systematicity 체계성
One problem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is limited experience with a variety of interactive practices in the target language. Therefore, one of the goals of second language teaching is to expose learners to different discourse patterns in different texts and interactions. One way that teachers can include the study of discourse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is to allow the students themselves to study language, that is, to make them discourse analysts. By exploring natural language use in authentic environments, learners gain a greater appreci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discourse patterns associated with a given genre or speech event as well as the sociolinguistic factors that contribute to linguistic variation across settings and contexts. For example, students can study speech acts in a service encounter, turn-taking patterns in a conversation between friends, opening and closings of answering machine messages, or other aspects of speech events. Riggenbach suggests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that can easily be adapted to suit a range of second language learning contexts.
제2외국어 학습자의 한 가지 문제는 대상 언어의 다양한 상호 작용 연습에 대한 제한된 경험이다. 따라서 제2외국어 교육의 목표 중 하나는 학습자들이 서로 다른 텍스트와 상호작용에서 서로 다른 담화 패턴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교사들이 제2외국어 교실에 담화 공부를 포함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학생들 스스로가 언어를 공부할 수 있게 하는 것, 즉 담화 분석가로 만드는 것이다. 진정한 환경에서 자연어 사용을 탐구함으로써 학습자는 주어진 장르나 언어 사건과 관련된 담화 패턴뿐만 아니라 설정과 문맥에 걸쳐 언어적 변화에 기여하는 사회언어학적 요인에 대한 보다 큰 인식과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접하게 되는 서비스에서의 말하기 행동, 친구 간의 대화에서의 말 차례 교환 패턴, 응답기 메시지 시작과 끝인사, 또는 말하기 이벤트의 다른 측면을 공부할 수 있다. 리겐바흐는 제2외국어 학습 맥락의 범위에 맞게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안한다.
* appreciation 인식, 감상
* greater 보다 큰
* across 걸친
* turn-taking 교대로
* be adapted to suit 맞게 적응되다, 조정되다
One discourse feature that is easy to study is listener response behavior, also known as
backchannels. Backchannels are the brief verbal responses that a listener uses while another
individual is talking, such as mm-hmm, ok, yeah, and oh wow. Listener response can also be nonverbal, for instance head nods. Research has identified variation among languages in the use of backchannels, which makes it an interesting feature to study. Variation has been found not only in the frequency of back-channels, but also in the type of backchannels, their placement in the ongoing talk, and their interpretation by the participants.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 Record-View-Transcribe-Analyze technique to study the linguistic form and function of backchannels in conversation.
연구하기 쉬운 담화 특징 중 하나는 맞장구라고도 알려진 청취자 반응 행동이다. 맞장구는 청취자가 다른 사람이 말할 때 사용하는 짧은 구두 반응으로, 음-흠, 좋아요, 예, 그리고 오 와우 같은 것이다. 청취자 반응은 예를 들어 고개를 끄덕이는 것과 같이 비언어일 수도 있다. 연구는 맞장구의 사용에 있어 언어 간의 차이를 확인했고, 이는 연구하기에 흥미로운 특징이다. 맞장구의 빈도뿐만 아니라 맞장구의 유형, 진행 중인 대화에서의 배치, 참가자에 의한 해석에서도 변형이 발견되었다. 학생들은 대화에서 맞장구의 언어 형태와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녹화-보기-기록-분석 기법에 참여할 수 있다.
* backchannel 맞장구
* verbal 언어의, 구두의
"Step One": Ask to video- or audiotape a pair of native speakers engaging in conversation, perhaps over coffee or lunch.
"Step Two": Play the tape for students. Have them identify patterns in the recorded inguistic behavior.
In this case, pay attention to the backchanneling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Is the same backchannel token used repeatedly, or is there variation?
"Step Three": Transcribe the conversation so that students can count the number and types of
backchannel tokens and examine their placement within the discourse.
"Step 4": Have students analyze specific discourse features individually, in pairs or in small
groups. These are some questions to consider: How often do the participants use a backchannel
token? How does backchanneling contribute to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and involvement in the conversation?
How can differences in backchannel frequency be explained?
How does backchanneling work in the students' native language?
"1단계": 두 명의 원어민에게 커피나 점심을 먹으며 대화를 나누는 비디오나 오디오 테이프 녹화를 요청한다.
"2단계": 학생들을 위해 테이프를 재생한다. 기록된 언어 행동의 패턴을 확인한다. 이 경우, 참가자들의 맞장구 동작에 주의를 기울인다. 동일한 맞장구 말뭉치 반복적으로 사용되나, 아니면 변동이 있나?
"3단계': 학생들이 맞장구 말뭉치의 수와 종류를 셀 수 있도록 대화를 옮겨 적고 담화 내에 자신의 위치를 조사한다.
"4단계": 학생들이 특정한 담화 특징을 개별적으로 짝이나 그룹으로 분석하게 한다.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참가자들은 맞장구 말뭉치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나? 맞장구는 어떻게 참가자들의 대화에 대한 이해와 참여에 기여하는가? 맞장구의 빈도 차이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 학생들의 모국어로 맞장구는 어떻게 작동하나?
* token 말뭉치
Students can collect and analyze data themselves. Once collected, this set of authentic
language data can be repeatedly examined for other conversational features,
then later compared to discourse features found in other speech events.
This discourse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removes language from the confines of
textbooks and makes it tangible, so that students can explore language
as interaction rather than as grammatical units.
Teachers can also use these activities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language variation,
dialect differences, and cultural diversity.
학생들은 스스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수집되면, 이 진짜 언어 데이터 세트는 다른 대화 특징에 대해 반복적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나중에 다른 음성 사건에서 발견되는 담화 특징과 비교될 수 있다. 언어 학습에 대한 이러한 담론적 접근은 학생들이 문법적 단위가 아닌 상호작용으로서 언어를 탐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언어를 교과서의 테두리로부터 제거하고 실제 하게 만듭니다. 선생님들은 또한 이러한 활동들을 언어 변화, 방언 차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 confine 한계, 범위
* tangible 분명히 실재하는
* so that ~하도록 하다, ~ 하게 하다
▶ CONCLUSION
In sum, teachers can use discourse analysis not only as a research method for investigating their own teaching practices but also as a tool for studying interactions among language learners. Learners can benefit from using discourse analysis to explore what language is and how it is used to achieve communicative goals in different contexts. Thus discourse analysis can help to create a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that more accurately reflects how language is used and encourages learners toward their goal of proficiency in another language.
▶ 결론
요약하자면, 교사들은 담화 분석을 자신의 교수 실습을 조사하는 연구 방법일 뿐만 아니라 언어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학습자는 담화 분석을 사용하여 언어가 무엇인지, 그리고 언어가 다른 맥락에서 의사소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지 탐색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담화 분석은 언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학습자들이 다른 언어에 능숙하다는 목표를 향하도록 장려하는 제2외국어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In sum 요약하면
※ 출처:
ERIC Resource Center www.eric.ed.gov
ED456672 2001-09-00 Discourse Analysis for Language Teachers. ERIC Digest. Page 3 of 7
'영어 > Discour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YPES OF DISCOURSE (0) | 2022.07.13 |
---|---|
WHAT IS DISCOURSE ANALYSIS? (0) | 2022.07.12 |
WHAT IS DISCOURSE? (0) | 2022.07.11 |
HUMAN COMMUNICATION (0) | 2022.07.10 |
Introduction to Discourse Analysis (0) | 2022.07.09 |
댓글